매일신문

이산 상봉.교류 확대 전망

'8.15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남북간에 끊어졌던 혈육간의 교류가 활발해질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이번 상봉을 계기로 서신교환, 대북 송금 등 각종 후속 조치들을 검토하고 있고 북측도 이같은 문제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이산가족상봉과 교류의 물꼬는 이변이 없는 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기류는 우선 남북 두 정상이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지난 14일 남측 이산가족 방문단과의 오찬 자리에서 "이산가족 방북단 교환은 새로운 남북관계에로의 진입을 위한 상징적 사업이 될 것"이라면서 "상봉을 계속 해나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남북 이산가족이 본인이 원하는 곳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은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9월과 10월에도 계속 이뤄지고 내년부터는 각 가정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남북 두 정상의 이런 입장은 현재 7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는 남북 이산가족 문제가 앞으로 지속적인 상봉으로 이어져 근원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다.

이번에 방북단 대표로 평양을 방문한 장충식(張忠植) 대한적십자사 총재도 방문기간 장재언(張在彦)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과 오는 9월초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남북 적십자회담을 비롯한 각종 현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알려져 구체적인 성과가 주목된다.

우선 이번 상봉이 끝난 뒤 첫 현안은 2차 상봉 날짜가 언제가 될 것이냐이다.

현재 정부는 추석을 전후한 시점에 이를 추진한다는 방침하에 추석 직후인 15일께를 유력한 상봉 날짜로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북측과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비전향 장기수 북송, 남북 적십자 회담, 2차 상봉 등으로 내달에도 인도주의적 교류가 숨가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 '못만난 사람에 대한 기회 확대'와 '이미 만난 사람들의 심도있는 재회 기회 제공'이라는 두가지에 초점을 맞춰 접근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상봉의 제도화를 위한 가장 급선무는 면회소 설치"라면서 "면회를 하기 위해서는 생사확인, 주소 확인이 선행되야 하기 때문에 서신교환, 대북 송금 등의 후속조치가 자연스럽게 풀릴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북 송금은 지금도 음성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남북간에 이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경우, 국내 외환관리법 규정을 손질해 즉시 가능하다는 것이 통일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따라서 올해 두 차례 정도 이산가족 교환방문이 이뤄지고 연내에 면회소가 설치될 경우, 빠르면 내년부터 각종 남북 이산가족 교류가 실현돼 분단과 단절의 고통이 치유되면서 점차 통일의 길로 접어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취재단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