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누구나 자신도 모르게 남을 원망하는 버릇이 있다. 남의 부족함을 보기는 쉬우나 자신의 부족함을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자신의 잘못을 반성할 경우 우울함과 무기력이 뒤따른다고 생각하니 쉽게 반성도 하지 못한다. 또 사람들은 오늘 이 순간과 삶이 절대로 영원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대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본능이 있다. 이를 불가에서는 '우치심(愚痴心)'이라고 하는데 삼독(三毒)의 하나다. 이 우치심을 제어하고 다스릴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불교에서는 중생을 교화하기 위한 보살의 덕목으로 남에게 그 마음을 베푸는 것을 '보시섭(布施攝)'이라 하고, 남의 마음을 이롭게 하는 것을 '이행섭(利行攝)'이라 한다. 나에게 이롭지 않고 전혀 이익이 없으면서 싫은 사람의 마음을 능히 기쁘게 칭찬하고, 그 마음을 기쁘도록 해주는 것을 '애어섭(愛語攝)'이라고 부른다. 또 인연이 있어 만난 많은 사람들의 아픔을 한결같이 긍정하여 주면서 다른 이를 결코 모함하거나 험담하지 않고 모든 이를 따뜻이 감싸주는 것을 '동사섭(同事攝)'이라고 한다.
이처럼 보시와 이행, 애어, 동사 등 네가지를 보살의 사섭법(四攝法)이라고 한다. 보시와 이행, 애어, 동사의 수행에 있어 능히 최고가 되면 그는 인류의 스승, 즉 위대한 성인이라고 불릴만하다. 더러 이름없는 선지식이 어려운 중생의 처지를 헤아려 남모르게 보살필 때 우리는 이를 진정한 '보리살타'라고 말할 수 있다. 사람은 누구든지 한가지 마음만 먹어도 인류의 진정한 스승이 될 수 있으며 참다운 보리살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많은 것을 얻거나 성취하려는 욕심때문에 고달픈 인생을 살아간다. 더러 소박하게 살아보려는 노력도 하지만 크거나 작거나 적당하거나 소박하거나 한결같이 꿈이라고 성인들은 말한다. 요즘 모 재벌가 부자형제간의 경영권 다툼을 보면서 부질없는 것에 생을 낭비하지 말라는 성인들의 가르침이 되새겨진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