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집권 전반기에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74.9%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분야별로는 '남북관계개선'이 94.1%의 지지를 받아 가장 잘한 분야로 꼽혔다.
또 김 대통령의 국정 후반기 전망에 대해서도 '잘할 것'이라는 응답이 79.5%로 집계돼 국민 대다수가 국민의 정부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이산가족상봉으로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이룬데다 외환위기도 잘 극복했다는 평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연합뉴스가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주)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 지난 21일 전국(제주 제외) 20세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김 대통령의 집권전반기 직무수행 및 분야별 정책 등에 대한 전화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0%)를 실시한 결과, '직무를 매우 잘했다'(7.0%)와 '잘한 편이다'(67.9%)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74.9%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인 평가는 23.0%에 불과했다.
'잘했다'는 긍정적 평가의 경우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지역이 88.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경기 80.4% △서울 72.7% △대전.충청 72.1% △부산.경남 69.6% △대구.경북 66.0% △강원 63.9% 등의 순이었다.
또 남자(77.5%), 50대 이상(79.5%), 농.임.어업종사자(81.1%), 블루칼라(80.4%), 100만원이하 소득층(78.9%)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던 반면 '잘못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는 강원(36.1%), 40대(29.6%), 화이트칼라(31.7%), 201만~300만원 소득층(27.2%)에서 높게 나타났다.
김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 전망에 대해서도 △더 잘할 것 21.2% △대체로 잘할 것 58.3% 등 '잘할 것'이란 응답이 79.5%로 높게 나타난 반면 '못할 것'이란 응답은 16.6%에 그쳤다.
김 대통령 집권 전반기중 분야별로는 △남북관계개선 94.1% △사회복지증진 65.3% △경제안정 47.5%의 순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고, 남북관계에서 이룩한 가장 큰 성과로는 △이산가족상봉 77.9% △햇볕정책유지 12.4% △남북경제협력 6.8% 등이꼽혔다. 또 경제분야 성과로는 △외환위기탈출 45.2% △재벌개혁 12.9% △금융권구조조정 9.3% △대기업 투명경영실현 7.9% 등의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반면 국민의 정부 전반기 동안 가장 잘못한 국정수행 분야로는 △사회복지증대 35.0% △경제안정 26.1% △정치개혁 25.6% 등의 순으로 응답, 의약분업 등으로 인한 사회혼란상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김 대통령의 지역갈등 해소노력 및 성과 여부에 대해서는 △노력은 하고 있으나 성과는 없었다는 응답이 52.0%로 가장 많았고 이어 △노력도 하고 성과도 있었다 35.0% △노력도 하지 않고 성과도 없었다 10.8% 의 순으로 김 대통령의 지역갈등 해소노력은 인정하지만 가시적 성과는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현안인 의약분업 시행과 관련해서는 △의약계와 협의하면서 수정, 보완해야한다 39.9% △전면 수정 또는 폐지해야 한다 38.2% 등으로 나타난 반면 △정부에서 의료계 입장을 많이 들어주었기 때문에 앞으로 의약분업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은 18.9%로 다소 낮게 나왔다.
이밖에 앞으로 김 대통령과 2기 내각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정책분야로는 △경제안정 61.9% △정치개혁 15.1% △사회복지증대 13.4% △남북관계개선 6.1% 등의 순으로 응답, 경제안정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