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집권 전반기에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74.9%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분야별로는 '남북관계개선'이 94.1%의 지지를 받아 가장 잘한 분야로 꼽혔다.
또 김 대통령의 국정 후반기 전망에 대해서도 '잘할 것'이라는 응답이 79.5%로 집계돼 국민 대다수가 국민의 정부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이산가족상봉으로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이룬데다 외환위기도 잘 극복했다는 평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연합뉴스가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주)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 지난 21일 전국(제주 제외) 20세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김 대통령의 집권전반기 직무수행 및 분야별 정책 등에 대한 전화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0%)를 실시한 결과, '직무를 매우 잘했다'(7.0%)와 '잘한 편이다'(67.9%)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74.9%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인 평가는 23.0%에 불과했다.
'잘했다'는 긍정적 평가의 경우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지역이 88.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경기 80.4% △서울 72.7% △대전.충청 72.1% △부산.경남 69.6% △대구.경북 66.0% △강원 63.9% 등의 순이었다.
또 남자(77.5%), 50대 이상(79.5%), 농.임.어업종사자(81.1%), 블루칼라(80.4%), 100만원이하 소득층(78.9%)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던 반면 '잘못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는 강원(36.1%), 40대(29.6%), 화이트칼라(31.7%), 201만~300만원 소득층(27.2%)에서 높게 나타났다.
김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 전망에 대해서도 △더 잘할 것 21.2% △대체로 잘할 것 58.3% 등 '잘할 것'이란 응답이 79.5%로 높게 나타난 반면 '못할 것'이란 응답은 16.6%에 그쳤다.
김 대통령 집권 전반기중 분야별로는 △남북관계개선 94.1% △사회복지증진 65.3% △경제안정 47.5%의 순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고, 남북관계에서 이룩한 가장 큰 성과로는 △이산가족상봉 77.9% △햇볕정책유지 12.4% △남북경제협력 6.8% 등이꼽혔다. 또 경제분야 성과로는 △외환위기탈출 45.2% △재벌개혁 12.9% △금융권구조조정 9.3% △대기업 투명경영실현 7.9% 등의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반면 국민의 정부 전반기 동안 가장 잘못한 국정수행 분야로는 △사회복지증대 35.0% △경제안정 26.1% △정치개혁 25.6% 등의 순으로 응답, 의약분업 등으로 인한 사회혼란상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김 대통령의 지역갈등 해소노력 및 성과 여부에 대해서는 △노력은 하고 있으나 성과는 없었다는 응답이 52.0%로 가장 많았고 이어 △노력도 하고 성과도 있었다 35.0% △노력도 하지 않고 성과도 없었다 10.8% 의 순으로 김 대통령의 지역갈등 해소노력은 인정하지만 가시적 성과는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현안인 의약분업 시행과 관련해서는 △의약계와 협의하면서 수정, 보완해야한다 39.9% △전면 수정 또는 폐지해야 한다 38.2% 등으로 나타난 반면 △정부에서 의료계 입장을 많이 들어주었기 때문에 앞으로 의약분업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은 18.9%로 다소 낮게 나왔다.
이밖에 앞으로 김 대통령과 2기 내각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정책분야로는 △경제안정 61.9% △정치개혁 15.1% △사회복지증대 13.4% △남북관계개선 6.1% 등의 순으로 응답, 경제안정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