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우방쇼크, 피해 최소화해야

(주)우방이 마침내 최종 부도처리됐다. 대구지역최대의 주택건설업체로 지역경제를 떠받치는 큰 버팀목 역할을해온 우방의 부도는 지역경제에 엄청난 충격을 몰고올 전망이다. 가뜩이나 전국최하위의 소득수준에서 허득이는 대구경제는 침몰의 늪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져 지역주민들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몇달째 채권은행의 자금지원을 받으며 연명해온 우방의 운명은 경영부실이 가져온 자업자득이라할 수 있지만 지역주민들이 입는 피해는 사실상 사회적 재앙이라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당장 대구경북의 2천여 가구 아파트 입주자들이 분양대금을 완납해놓고도 소유권이전을 하지못하고 2만여 가구의 아파트 분양자들은 입주포기 또는 장기지연이 불가피한 딱한 사정에 놓이게 된 것이다. 이와함께 1천여 협력업체들은 공사대금으로 받은 어음을 결제받지못해 이를 사용한 관련 업체들이 대부분 연쇄도산할 지경에 이르러 적어도 간접피해까지 감안하면 약 10만명이 고통을 받게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같은 피해는 결국 지역경제 전체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돼 대구시당국의 기민한 대책은 물론 중앙정부차원의 적절한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물론 정부와 대구시당국이 그동안 우방의 도산을 막기위해 직간접적인 노력을 해왔지만 우방이 워크아웃 기업으로서 회생불능으로 판정됐다는 점에서 자금지원 거부 결정은 불가피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경영주인 이순목 회장은 기업을 이지경으로 몰고온데대해 나름대로 변명할 말이 있을지모르겠으나 경영부실의 책임은 면하기 어렵다.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들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은 워크아웃 기업주로서 기업회생에 전념하기보다 주택건설협회 회장,정당관련 활동 등으로 불성실한 면모를 보인 것은 모랄 해저드로 비쳤던 것이다. 이 때문에 우방부도로 발생한 피해에 대해 먼저 이 회장이 법인의 대표로나 개인으로나 책임을 다하는 성실한 자세를 보여야할 것이다.

정부와 대구시는 시공중인 아파트에대해선 분양자의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시공보증에 따른 대리시공업체선정을 서두르는 한편 협력업체들에 대해서도 남은 공사의 참여로 도산을 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줘야할 것이다. 또한 지역에 남아있는 다른 중소 주택건설업체들이 우방부도의 파문속에 휩쓸리지않도록 금융지원이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 보호해야할 것이다. 특히 정부는 이번 우방도산을 계기로 대구경제의 붕괴를 막기위한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