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대 외자유치 효과

현대 금융계열사들의 이번 외자유치가 성사되면 현대그룹은 자금난의 빌미가 됐던 현대투신 부실처리 부담에서 벗어남으로써 시장의 불신을 상당폭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투신권 신뢰회복의 토대를 마련하는 동시에 현대투신의 경영정상화도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이와함께 빠르면 1년 뒤 국내 굴지의 금융사가 사실상 외국자본에 넘어가게 됨으로써 증권을 비롯한 금융업계에 판도 변화가 예상되는 등 금융시장 전체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투신증권의 부실문제는 현대계열사들이 현대투신 부실을 어떤 식으로든 떠안을 수 밖에 없다는 우려가 증폭되면서 현대그룹 자금난의 도화선이 됐었다.

결국 현대전자 등 계열사들은 현대정보기술.현대택배.현대오토넷 등의 주식 1조7천억원어치를 자본확충 실패시 출자전환을 위한 담보로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번에 현대투신증권을 비롯한 현대금융계열사들이 외자유치에 성공함으로써 현대계열사들은 이들 담보재산을 고스란히 되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현대투신증권은 1조2천억원의 자본잠식상태에 있으면서도 재벌계열사라는 이유로 한국투신이나 대한투신과는 달리 공적자금 투입대상에서 제외됐었다.

이 때문에 현대투신의 장래가 불투명해지면서 결국 현대 자금난의 불씨가 됐다.현대는 이에 따라 금년말까지 1조2천억원의 자기자본을 확충해 자본 잠식 상태를 해소한다는 경영개선협약(MOU)을 맺었었다.

따라서 이번 외자유치를 통해 자본확충 계획을 조기 달성하게 되는 셈이다.

이와함께 이번 외자유치가 투신권의 불신을 해소해 이미 엄청나게 빠져나간 자금을 환류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대한투신과 한국투신에 2차로 4조9천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 완료됐고 양 투신은 공적자금에 힘입어 고객재산인 신탁재산의 클린화를 선언했다.

따라서 현대투신증권이 외자유치로 자기자본 마이너스를 해소하게 되면 투신권의 불신도 상당 부분 누그러들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내 증권업계 수위를 달리고 있는 현대증권의 경영권이 사실상 국제컨소시엄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임에 따라 증권업계는 물론 국내 금융시장 전반에 큰 충격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