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벌초를 하다 벌집을 건드려 벌에 쏘여 숨지거나 중상당하는 사고가 잦다. 양봉 전문가들은 "벌초전 산소 주변의 벌집 유무를 먼저 살피고, 혹시 잘못 건드려 벌떼의 공격을 받더라도 수건, 옷 등을 휘두르며 도망가는 것은 금물"이라고 충고하고 있다.
말벌, 땅벌 등 벌의 비행 속도가 최고 시속 50㎞ 정도여서 아무리 도망가야 헛수고며, 수건 등을 휘두르는 것은 오히려 벌에게 자신의 위치만 알려줘 공격만 더 받을 뿐이라는 것.
즉 도망가는 것 보단 머리를 땅쪽으로 낮추고 엉덩이를 높여줘 1~2대 쏘이더라도 침착하게 대응하는 게 최선이라는 것이다. 인근에 저수지 등이 있을 경우 물속으로 몸을 피하는 것도 한 방법.
또 벌에 쏘여 숨지는 것은 머리, 몸 등 부위에 상관없이 편도선이 부어 질식사 하는 경우가 대부분. 벌에 쏘인 환자는 그늘에 눕혀 단추, 허리띠 등을 모두 풀고 찬수건과 더운 수건을 번갈아 가며 배꼽 주위를 문지르고 반드시 인공호흡을 해줘야 한다.
특히 벌에 쏘였을때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환자는 호흡 곤란, 두드러기,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인공호흡 등 응급처치후 병원에 후송하는 것이 좋은 대응방법이다.
칠곡·李昌熙기자 lch888@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