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종주국의 위력이란 이런거야"
태권도 여자 67kg급 결승에 오른 이선희(22.에스원)이가 29일 좌우 돌려차기·옆차기·올려차기 등 종주국의 화려한 발기술을 선보이며 한국에 7번째 금메달을 선사했다.
쉴새없이 이어지는 이선희의 공격에 관중들은 일제히 숨을 죽이다 폭발력있는 묘기가 성공하면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모두 태권도의 진수에 폭 빠져들었다.
노르웨이의 트루데 군데르센을 상대로 치룬 이날 금메달 결정전은 1회전 시작하자 마자 위력적인 좌우 발 공격으로 이선희가 기선을 잡았다. 이선희는 1분27초와 1분54초 잇따라 점수를 따내 2-0으로 리드를 잡았고 수비에 급급한 군데르센은 발조차 뻗어보지 못했다.
2회전에서도 이선희의 공격은 멈추지 않았다. 20초만에 왼발로, 1분35초 오른발로 4-0을 만들었다. 그러나 앞서고 있는 선수답지 않게 밀고 계속 밀어부치다 불의의 역습을 받고 2점을 내주기도 했다. 그러나 3회전 15초만에 왼발차기로 5-2를 만들면서 승부는 사실상결정났다.
사실 이선희에게 결승보다 준결승전이 다소 부담스러웠다. 1회전을 부전승으로 통과한 후 준준결승에서 핀란드의 키르시마리아 코스키넨을 5-1로 누르고 4강에 오른 상대는 네덜란드의 '복병' 미리암 뮈스켄스. 뮈스켄스는 1회전에서 호주의 리사 오키프를 8-6으로, 8강전에서 미국의 바브라 쿤넬을 6-2로 물리친 공격형 선수였기 때문.
그러나 공격력은 이선희가 한 수 위였다. 이선희는 위협적인 안면 공격으로 기선을 잡고 1회전에서 연속 받아차기로 2-0으로 앞서 승기를 잡고 2회전에서 돌려차기와 옆차기로 2점을 추가, 4-1로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이번 이선희의 금메달은 다른 선수들의 단순한 기술 발휘와 획일적인 득점 때문에 올림픽 경기로 첫 채택된 태권도에 대해 실망감을 가졌던 관중들에게 '태권의 진수'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더욱 값지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