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나의제언-국토균형개발 지역대학이 초석

웬만한 중소 도시에는 이제 대학 또는 전문대학이 한 두개 정도는 있어 활보하는 젊은이들로 활력과 희망이 넘치고 있다. 대학이 지역에 낭만과 생동감을 주며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이 매우 지대하다는 것이다.

경북에도 국립인 포항공대, 금호공대, 안동대, 상주대가 있고 예천, 문경, 김천, 영천, 영주, 경주 등 지역 곳곳에 대학들이 분포되어 지방의 자존심을 지켜가며 중소도시와 명맥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금년들어 수능응시자가 계속 줄어들고 있어 대학마다 신입생 확보에 초비상이다. 물론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 소재 대학들은 별 문제가 없겠지만 중소도시에 소재한 대학들은 학생이 없어 자칫 문닫을 사태가 도래하지 않을까 불안해 하며 지역민 모두가 자구책 마련에 고심중이다.

근래 수도권 공룡화를 우려하면서 정부부처, 기업, 대학의 지방이전을 심심찮게 내놓고 있어나 시행은 미미하다. 진정한 국토균형 개발정책에 부응한다면 수도권 및 대도시 대학의 정원을 줄여서라도 해마다 경쟁력이 떨어지고 왜소화 되어가는 지방대학을 살려야 할 것이다. 분명히 지방대학 사활이 중소도시 발전에 관건임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국립대학 발전 계획안'은 지방대학을 소외시하는 방안으로 지역기반을 흔드는 졸속한 계획이므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잖아도 농어촌 지역은 인구감소가 계속되고 있어서 각 자치단체마다 인구 지키기에 갖가지 인센티브 부여 등 온갖 방법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지역대학의 활성화 대책마련이 지역 중소도시를 살리며 국토 균형개발의 초석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김종한(상주시청 재산관리담당)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