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기관의 자사 직원에 대한 저리 특혜대출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30일 국회 정무위 한나라당 서상섭(徐相燮)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각 은행마다 직원들에게 일반인보다 최고 5%이상 낮은 이율로 대출해주고 있으며, 특히 공적자금이 투입될 예정인 많은 부실은행들이 우량은행에 비해 직원대출 비중이 더 높거나, 여타 은행보다 훨씬 낮은 이율로 직원들에게 대출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계대출금액에서 임직원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서울은행이 6.18%로 월등히 높았고, 외환 3.12%, 제일 2.72%, 한빛 2.63%, 조흥 2.20%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우량은행인 주택은행이 0.47%인 것을 비롯해 신한(1.62%), 국민(1.65%)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일반인에게 대출하는 가계대출과 임직원대출과의 금리차이도 한빛 5.80%포인트, 조흥 5.63% 포인트, 제일 5.43% 포인트, 서울 4.98% 포인트 등인데 반해 주택은행은 1.17% 포인트에 불과했다.
대구은행의 경우 임직원 대출금리로 담보.신용대출 관계없이 기준금리인 9.75%를 적용, 신용대출에서 일반인들이 신용도에 따라 적용받는 9.5~14%(평균 11%선)보다 우대받고 있다.
이밖에 생보사인 SK생명의 경우 일반인 대출금리(신용대출 기준)가 14.6%인데 반해 임직원에게는 연리 4.0%에 대출해 주는 등 나머지 금융기관들도 특혜대출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