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방 비자금 장부 '공개검토',노조가 시민단체에 넘겨

현재 법정관리 신청 상태인 (주)우방이 지난 98년 7월 워크아웃 이후 2년 동안 관급공사 공사비를 과다 계상하는 수법으로 182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장부를 노조가 확보, 시민단

대구참여연대, 대구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부도 이후 회사측의 182억원 비자금 조성을 주장해온 우방노조로부터 장부 일체를 넘겨받아 공인회계사를 통해 그같은 규모의 비자금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료는 우방이 대구지하철 2호선, 달성 명곡지구아파트 등 관급공사 10여건을 벌이면서 공사비를 과다계상한 이면계약서 등이 첨부된 1천여장 분량의 파일 7권이다.

이 자료에는 각 공사현장의 월별 공사비 내역과 영수증, 본계약서, 이면계약서 등이 첨부돼 있으며 대다수 자금출납서에는 이순목 회장의 서명 또는 출납담당자의 서명이 기재돼 있다.

우방노조와 시민단체는 관급공사 하도급업체와의 본계약서와 이면계약서를 대조한 결과 182억원의 차액이 발생했으며, 이 중 입.출금내역서에 서명이 없거나 공사비의 상세한 내역이 빠져있는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비자금 조성으로 의심할 만한 차액은 110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와 시민단체는 이를 입증하는 비자금 장부를 공개해 검찰 수사를 촉구하기로 하고 현재 시기와 방법을 논의중이다.

따라서 워크아웃 중인 우방의 비자금의 조성 경위와 사용처에 대한 수사가 뒤따를 경우 엄청난 파문을 몰고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주)우방은 현재 지하철2호선 5개공구와 대구종합경기장 등 대구시종합건설본부가 발주한 3개 사업, 도시개발공사가 발주한 동서변택지지구 조경공사, 부산지방항공청이 발주한 대구공항확장공사 등 모두 10개 관급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주)우방 노조 관계자는 "관급공사 현장마다 건축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대략 700만원 내외의 자금을 관공서에 뿌렸으며 나머지 비자금 대다수는 이순목 회장이 정.관계 로비자금으로 사용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우방이 관급공사에서만 182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비춰볼 때 아파트 등 일반 공사까지 합치면 비자금 조성액은 수백억원대에 달할 것"이라며 "확보한 회사자금 출납자료를 공인회계사 등을 통해 분석을 끝냈기 때문에 조만간 검찰에 고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金炳九기자 kbg@imaeil.com

李尙憲기자 davai@imaeil.com

우방 비자금, '도덕적 해이'의 극치

(주)우방이 지난 98년 7월 워크아웃 결정 이후 각종 관급공사 공사비를 하도급업체와 이면계약하는 방법을 이용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은 기업의 '도덕적 해이'를 보여준 전형적 사례라는 지적이다.

워크아웃 기업들은 방만한 경영으로 자금난에 빠져 채권단의 신규자금 지원, 대출금 출자전환 등으로 겨우 버티면서 채권단 및 국민에게 엄청난 부담을 지우고 있다.

이런 기업이 자산매각, 인력감축 등 비용절감과 경영혁신을 통해 회사를 정상화시키고 부채를 상환하는 노력 대신 비자금을 조성, 정.관계 로비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는 것은 한마디로 난센스라는 것.

이번에 우방 노조가 입수한 자료에는 우방이 각 공사현장별로 하도급업체 등과 실제 공사계약서 및 이면계약서를 별도로 작성한 뒤 이 차액을 자금출납팀을 통해 경영자에게 전달한 것으로 나타나 전형적인 건설업체 비자금 조성수법으로 밝혀졌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해 7월 전국 43개 건설사와 21개 건설현장을 상대로 실시한 '도덕적 해이도' 조사에서도 공사계약때 발주자와 시공자 사이에 이면계약을 했다는 건설사가 9.3%로, 정부투자기관이나 대형건설사가 발주하거나 하청을 줄 때 공사비 등을 부풀려 비자금을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방 노조는 "우방이 관급공사 공사비를 부풀려 조성한 비자금외에도 민간 건설공사를 통해서도 엄청난 비자금을 조성했을 것"이라면서 "이순목 전 우방회장의 부인이 경영하는 조방산업에 하도급하는 과정에서 매출을 은닉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에디슨과학을 독립시키면서 특허권을 7억원을 위장 매각한 의혹도 있다"고 주장했다.

우방 노조는 이처럼 조성한 비자금의 일부는 대구시와 구.군청의 인.허가 과정에서 뇌물로 상납했을 것으로 보고 나머지 상당수는 여.야 정치권에 로비자금으로 흘러들어갔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방노조 한 관계자는 "통상 공사현장마다 건축허가과정에서 700만원씩 행정기관에 상납하고 있으며 우방으로부터 비자금을 받았다는 여권 고위관계자 및 일부 야당 정치인들의 이름도 거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우방에서 자금출납을 담당했던 직원 2명과 조방산업 자금출납 담당자 등 3명이 이미 잠적한 상태이다.

우방노조측은 최근 입수한 공사비 입.출금 내역자료를 근거로 조만간 검찰에 고소할 방침이어서 검찰수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나 여.야 정치인을 비롯해 지역 공무원 상당수가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아 광범위한 수사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검찰 수사가 비자금 사용출처 추적으로 확대돼 지역의 '대형 건설비리 사건'으로 번질 경우 청구사태 이후 정.관계에 또한번 엄청난 파장이 예상된다.

한편 우방은 지난 8월말 부도가 나자 법정관리를 신청했으며 지난달 26일 법원으로부터 회사정리절차 개시결정을 받았다.

金炳九기자 kbg@imaeil.com

李尙憲기자 dava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