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거래량 갑자기 급증땐 '요주의'

증권시장에서 '작전'이 횡행하고 있지만 일반 투자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금감원이 작전에 대해 조사에 들어가는 것은 작전이 끝난 뒤가 대부분이어서 개인 투자자들은 눈뜨고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

지난 4월 대구백화점 우선주 작전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신모(29)씨 등이 쓴 수법을 보면 작전세력이 얼마나 치밀하게 주가를 조종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들은 먼저 상한가 또는 상한가에 근접한 고가 매수주문으로 적극적으로 대구백화점 우선주 등을 매집했다. 다음으로는 매수의사가 없는 하한가 또는 하한가에 근접한 저가의 대량 허수주문으로 일반투자자들의 매수세를 유인했다. 이어 주가가 어느 정도 올랐을 때 보유주식을 매도하는 수법을 썼다. 대구백화점 우선주가 폭등했을 당시 '작전주'라는 소문이 나돌았는데 결국 작전세력이 개입된 사실이 이번에 드러났다.

하지만 이처럼 작전세력이 날뛰는 데도 이를 감독하는 시스템은 허술하다. 1차적으로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증권시장이 각 시장에서 매매 형태가 이상한 종목을 골라 금감원에 넘기는 데다 금감원도 이들 종목을 모두 조사하지 않는다. 작전으로 얻는 이득에 비해 처벌이 경미한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투자자들 스스로 작전종목에 대한 식별요령을 숙지해 조심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먼저 작전종목일 경우 거래량이 급증한다. 작전을 하려면 주식을 매집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

회전율이 높은 종목도 주목해야 한다. 작전세력이 주가를 관리하려면 일정수준 이하로 주가가 떨어질 경우 이를 사들여야 한다.

또한 작전종목은 매수창구가 몇개에 집중된다. 작전세력은 7~8명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부분 거래량이 몇몇 증권사 지점창구로 집중된다는 것.

호재성 소문이 난무하거나 재료없이 주가가 계속 오르는 종목도 작전세력이 개입됐을 가능성이 높다.

주가가 상승을 멈췄는 데도 기관이 사들일 경우라면 뒷거래를 통해 작전세력이 기관투자가에게 주식을 넘기지 않았는지 의심해봐야 한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