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민생안정 內治에 최우선

김대중 대통령은 노벨평화상 수상으로 심혈을 기울여 온 남북화해.긴장완화 정책이 정착단계에 들어섰다고 보고 앞으로는 내치(內治)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국정을 꾸려갈 방침이다.

이는 그동안 남북.외교문제에만 치중, 상대적으로 내치에 소홀했다는 여론의 지적에 따른 것으로 앞으로의 국정운영 초점은 경제.민생 안정과 국민통합에 맞춰질 전망이다. 또 지역간 계층간 통합을 위해 인권법과 부패방지법 제정, 국가보안법 개정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통령은 이날 오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노벨평화상 수상은 개인의 영광이긴 하지만 민주주의와 인권신장을 지지해준 우리 국민들에게 돌아가야 할 영광"이라며 "앞으로 차분하게 국정을 수행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남북 화해.협력과 민주주의, 인권신장이라는 노벨평화상 수상 의미에 걸맞게 국정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하고 "앞으로 국민들이 통합하고 에너지를 결집해 정치.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으로 가는 터전을 발전시켜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15일 "대통령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경제를 안정.발전시키는 일"이라며 "경제와 민생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남북관계 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경제안정 방안과 관련해 "대통령은 중동사태로 인한 유가 불안 등 외적요인을 극복하는 것과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지방경제를 살리는 것 등 두 가지를 가장 역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통령의 이같은 국정운영 구상은 국내외 여건 악화로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경제상황을 반전시키지 않으면 취임 후 가장 큰 치적으로 내세워온 외환위기 극복이란 성과는 물론 자칫 노벨평화상 수상으로 얻은 외치의 성과마저 빛이 바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김 대통령은 매월 경제장관회의를 직접 주재하는 방식으로 경제를 직접 챙기고 점검하는 한편 한편 경제난 극복을 위한 핵심 열쇠로 지목한 4대 부문 개혁에도 강한 드라이브를 건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와 합의한 대로 상생의 정치를 통해 경제.민생안정을 위한 여야간 의견을 결집과 지역.계층간 갈등 해소를 포함한 국민화합 및 사회통합에도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