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안을 가진 사람들의 안경을 벗기는 수술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라식수술. 그러나 고도 근시환자의 경우 이 수술로 완전한 시력 회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까딱 각막 내피세포가 손상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계명대 동산병원 안과 김기산 교수팀은 굴절도가 -15디옵터 이상인 고도 근시 환자 67명에 대해 라식수술을 시행하고 일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평균 -1.14디옵터로 교정됐을 뿐 완전 교정은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교정 정도가 ±0.5 디옵터 이내가 27%, ±1.0 디옵터 이내가 41%, ±2.0 디옵터 이내가 68%로, 2.0 디옵터 이상의 오차를 보인 환자가 32%나 됐다는 것.
이는 고도근시 환자의 경우엔 라식수술로 시력을 상당폭 회복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수술 후에도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는 얘기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 교수는 또 각막을 많이 깎아야 하는 고도근시의 라식수술 때는 각막의 투명도를 유지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각막 내피세포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각막을 많이 깎아내 각막간질의 잔여 두께가 250㎛ 이하이거나, 레이저빔 발사 수가 400이상인 경우, 각막절편을 젖힌 후 남은 각막의 30% 이상을 깎아낸 경우 등 82명을 관찰한 결과, 6각형 세포 비율의 감소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김 교수는 각막을 많이 깎아야 하는 라식수술이라도 250㎛ 이상 남기는 것이 안전하고, 최소 235㎛ 이상은 남겨야 각막 내피세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 연구결과를 내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 백내장 굴절수술 학회에서 발표키 위해 학회로 발송했다.
이종균기자 healthcar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