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환경관리청이 전문 연구기관까지 동원해 실시한 환경오염 실태조사가 시료채취 지점이 틀리고 실존하지 않는 가공의 인물을 조사 대상자로 기록하는 등 상당부분 엉터리로 드러나 환경행정의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대구환경청이 이러한 자료를 지난 달 31일 실시한 국회 환경노동위의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해 파문이 일고 있다.
대구환경청은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 등 금장광산 일대 주민들이 수질기준을 초과한 납(Pb), 아연(Zn) 등이 함유된 지하수를 먹고 있다는 '99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 용역사업에 따른 지하수 수질결과'를 지난 2월 포항의 ㅍ연구원으로부터 받아 최근 울진군과 환경노동위 국감자료로 제출했다.
그러나 환경청이 시료를 채취, 납과 아연이 기준치보다 각각 2배 이상 초과됐다고 밝힌 2개 지점중 한 곳인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 592번지 최남성'은 실존하지 않는 가공의 번지와 인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최근 열린 대구환경청 국감에서도 '대체 음용수 공급 방안은 마련'하겠다고 답변했으나 울진군은 이미 지난 95년 이들 지역에 간이급수시설(암반 관정)을 설치해 준 것으로 드러나 환경행정에 대한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
환경청은 지난 해 2월에도 울진군 소재 ㅂ콘도 방류구에서 오수가 기준치 이상 방류됐다고 통보, 울진군이 행정조치에 나섰으나 시료채취 지점이 방류구가 아닌 하천으로 뒤늦게 밝혀져 처분통지를 취소하는 등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이에 대해 환경청 관계자는 "폐광산 인근의 시료채취 대상자와 지점 등이 실제와 다른 것은 용역을 맡은 연구원 현지 기록 요원들의 착오였으며 콘도 오수 방류도 해당 지자체에 알려줬을 뿐 행정조치 통보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황이주기자 ijhwa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