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생 골재업체들 경영난

폐건축자재를 처리해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대구와 경북지역 업체들이 IMF사태이후 계속된 건설 불경기와 관급공사 사용물량도 적어 제품을 처분하지 못해 부도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 97년 9월 영천시 대창면 사리 7천여평의 공장부지에 콘크리트 파쇄기, 소각로, 먼지방지시설 등 24억5천여만원을 투자해 설립된 폐건축자재 이용 재생골재 생산업체인 (주)대명환경의 경우 98년 중반부터 생산된 모래와 자갈 등 재생골재를 처분못해 9일 현재 35만t의 재생골재가 공장부지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주)대명환경은"공장설립후 6개월가량은 대구·경북지역의 건설현장에서 폐건축자재를 반입, 재생골재를 생산해 싼 가격으로 도로보조기층재와 건축공사장 성토용으로 반출했으나 이후 건설경기가 급격히 퇴조하면서 폐건축자재 반입과 재생골재 반출이 거의 중단돼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이 업체는 생산된 재생골재가 7천여평 공장부지를 거의 차지, 폐건축자재를 새로 들여올 공간 확보조차 어려워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31개 폐건축자재 재생골재생산업체 대부분이 비슷한 실정으로 올들어 3개 업체가 도산했으며 나머지 28개업체도 부도위기라는 것. 업계에서는 이들 31개 업체의 공장부지에 쌓여있는 재생골재만도 1천만t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건설폐기물처리공제조합 대구·경북지부 손종곤(48)부지부장은 "지난 7일 긴급이사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으나 성과없이 끝났다"며 "정부가 폐기물관리법시행령을 개정, 관급공사만이라도 재생골재 사용을 의무화해 업체 숨통을 터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본과 유럽 등 선진국은 토목공사때 도로보조기층재의 80%이상을 재생골재로 사용토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천·서종일기자 jise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