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학교재 정장판만 고집 값싼 문고판도 제작을

대학 근처에는 복사집이 불이 난다. 학생들이 한권에 몇만원씩 하는 책값을 감당할 수 없어 불법인줄 알면서 남의 책을 빌려다가 복사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저작물을 복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학생들이 잘못하는 것이지만 그 이면에는 우리나라 출판계의 고질적 병폐도 있다.

유럽에서는 연구서적이나 대학도서를 한권 내게되면 고급정장(지금 대학에서 쓰는 값비싼 책들)을 한종류 내는 외에 반드시 문고판(페이퍼 백, 값싸고 들고다니기 쉽게 만든 것)을 하나 더 출판한다고 한다. 이 문고판은 값이 정장판보다 20%밖에 안돼 인기가 아주 좋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값비싼 정장판 뿐이다.

특히 대학교재는 담당교수가 저술한게 많은데 문고판은 눈씻고 찾아도 없다. 교수들이 연구서적을 어떻게 문고판으로 내겠느냐는 권위의식이 깔려있기 때문이다.그러니 학생들은 비싼 책값을 감당못해 복사기에 줄을 설 수밖에 없다. 대학교재도 값싼 문고판이 나왔으면 좋겠다.

강성구(대구시 능성동)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