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20일 인천시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대우차의 부도사태로 인한 이 지역의 경제적 어려움을 위로하고 조속한 파문수습을 위해서는 구조조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에 참석한 이수영 인천상공회의소회장으로부터 "지역경제가 어렵다"면서 "대우차 부도 이후 협력업체들이 위기상황에 봉착해 있으며, 대우차가 빨리 정상화돼야 한다"는 건의를 받고 "대우차 문제는 정부도 가슴이 아프다"며 말문을 열었다.
우선 김 대통령은 "대우차가 매월 1천억원의 부도를 내는 것을 언제까지나 방치하고 있을 수 없었다"면서 "그것은 국민에 대한 책임이 아니고 배임"이라며 부도가 불가피했음을 설명했다.
이어 김 대통령은 기아와 삼성차 또한 같은 위기에 처했었고, 해당 지역 경제가 진통을 겪었음을 상기시키면서 '돈벌이가 되는 기업'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조목조목 짚어 나갔다.
김 대통령은 과거 공산권 국가의 예를 들면서 "독일에서 삼성이 기업을 인수해 800명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공산국가에서는 같은 기업에 9천명이 고용돼 있었으니 기업이 망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그래서 사회주의 국가가 망한 것"이라고 말했다또한 김 대통령은 "실업을 회피하려다가 기업이 망하면 모두 실업자가 된다"면서 "필요없을 때 정리하고 필요할 때 고용하는 유동성 확보가 중요하다"며 이것이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결론적으로 "어디까지나 경제논리로 돈버는 대우가 돼야 한다"면서 "그러면 대우를 반드시 살리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이날 김 대통령을 수행한 이기호(李起浩) 청와대 경제수석은 대우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지원금을 2억에서 4억원으로 증액시켰으며, 워크아웃 기간 돌아오는 어음은 새로 교체해 줄 것이라며 다각적인 대우 협력업체 지원방안을 설명했다.또한 이 수석은 "오는 27일 대우의 법정관리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면서 "그러나 선결조건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면 법원이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노조에 구조조정안의 수락을 촉구했다.
특히 이 수석은 "현대는 1만명, 기아는 2만명을 감축했는데 대우는 3천800명 감축에도 동의하지 않고 있다"면서 구조조정이 선결돼야 법정관리가 가능하고 그래야 대우차가 정상화돼 협력업체의 희생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대우차가 정상화되면 리콜제를 할 수도 있다"면서 "현대차도 1만명을 해고했지만 2년후에 모두 다시 돌아왔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