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살림 함께 풀어도 힘겨운 판에

지역 경제계에서 '제2의 IMF'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는 해묵은 감정대립을 계속,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21세기 지역경제발전협의회'가 반쪽짜리 기구로 전락하게 될 전망이다.

대구상공회의소는 4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역량 결집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경제관련 기관단체, 금융기관, 정당대표, 주요 협동조합 등 30인의 지역인사로 구성된 '21세기 지역경제발전협의회'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방 부도, 삼성상용차 퇴출, 대우자동차 부도 등 올들어 지역 경제계에 충격을 주는 현안들이 잇따라 발생했지만 이를 총괄적으로 협의, 장기적인 지역 경제의 마스터 플랜을 세우는 협의체가 없었다는 것이 이번 협의회 구성의 동기.

이달 안으로 첫 회의를 소집, 긴급 현안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다는 것이 협의회를 발의한 대구상의측 계획이다.

그러나 정작 지역 경제현안 논의에서 중심축을 담당해야할 대구시는 운영주체에서 빠져 있어 대구시와 대구상의간의 불협화음이 협의회 구성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고 있다.

대구상의측은 당초 협의회 구성안에서 운영주체로 '대구시'를 넣고 대구시에 협의회 참여를 요청했지만 아무런 답변도 얻지 못하자 "대구시의 참여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의미를 축소하기에 급급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상의 관계자는 "민간기관들만 모여서는 기구에 힘이 실리지 않는 데 이처럼 좋은 취지의 움직임에 대구시가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섭섭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김가영기자 k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