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식 대한적십자사 총재의 거취문제가 정부내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2차 이산가족 상봉기간 동안의 장 총재 방일을 두고 '외압설'이 나오는 마당에 거취문제가 또다시 불거질 경우 북측에 굴복했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장 총재가 귀국한 4일 정부도 곤혹스런 기색이 역력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장 총재의 거취는 스스로 결정할 문제"라며 "정부가 민간단체인 적십자사 총재의 얘기를 한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한발 물러섰다.
그는 또 "오는 12일부터 평양에서 열리는 제4차 장관급회담에서 장 총재 문제를 먼저 거론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그렇지만 북측의 태도가 완강한 상태에서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관심사다.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기간동안 평양에서는 허혁필 민화협 부위원장이 '책임있는 위치의 사람들의 언행'문제를 거론했고 장재언 북측 단장은 서울에서 "그 몰골이야말로 가련하다"며 '인신공격성'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북측은 또 장관급 회담에서도 이 문제를 공식 거론할 태세다.
그러나 북측의 주장을 액면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많다. 그렇잖아도 야당가에서 정부의 대북 저자세 외교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장 총재 문제는 보다 당당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장 총재 자신도 이날 귀국하면서 이같은 사정을 감안한 듯 "북측 사람들과 여러가지 마찰을 빚고 싶지 않았다"며 말을 아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