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안동】환율상승과 광우병 파동 이후 식물성 사료원료 수요증가에 따른 국제사료용 곡물가격 인상 여파로 2년간 안정세를 보이던 국내 사료값이 대폭 인상될 것으로 알려져 축산물시장 완전 개방을 맞은 축산농가에 이중고의 시름을 안겨 줄 전망이다.
축협사료공장본부에 따르면 현재 축협사료값은 97년 말 외환위기때 공장도 가격 기준으로 35% 가량 인상한 것을 98년이후 11차례에 걸쳐 조정, 종전 가격대로 내려 99년 12월부터 최근까지 변동없이 유지해 왔다.
그러나 이 가격은 환율이 1달러당 1천200원 이하에서 조정된 것으로 최근 70원이상 오른 고환율 추세가 지속되는데다 가축사료의 주원료로 수입하고 있는 옥수수와 대두박 국제가격이 광우병 파동으로 폭등해 사료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다만 축산시장 완전개방과 맞물린 때를 감안, 양축농가의 급격한 경쟁력 저하와 기타 영농자재가격 인상에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해 사료가격인상 시기를 최대한 늦추고 있다는 것.
반면 일반 시중 사료업계는 이달초 5∼8% 올렸다가 1주일만에 종전가격으로 환원했던 사료값을 다음달 초순 다시 10% 이상 인상할 방침을 세워 사료값 인상을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축산농가들은 작년 구제역 발생 이후 축산물 가격이 크게 떨어져 어려운 경영 상태에서 생산비의 40~70%를 차지하는 배합사료 값마저 이처럼 오르면 대외경쟁력과 채산성이 크게 악화돼 축산업이 도산 위기를 맞을 수 밖에 없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축산전문가들은 이와관련 "일본의 경우 환율변동 등 인상요인이 발생하면 인상폭의 절반을 전국 배합사료 안정기금에서 보조하는 제도가 있다"며 "우리도 이를 차용해 축산농가를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축산 관계기관에서는 사료값 인상에 대비, 대체용 조사료와 농산 부산물을 충분히 확보할 것을 축산농가에 당부하고 있다.
박동식기자 parkds@imaeil.com
정경구기자 jkg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