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퇴임 직전 전격 실시한 사면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무려 50가지 죄목 때문에 스위스에서 도피 중인 마크 리치라는 사람까지 어떻게 사면자 명단에 포함될 수 있었느냐가 논란의 핵심. 미국인들 대부분도 이번 사면조치에 반감을 표시했다. 지난 8, 9일 뉴스위크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 1천명 중 72%가 리치 사면을 불신했다.
리치는 사기·밀수, 적성국 교역금지법 위반, 5천만 달러 소득세 횡령 등으로 기소되자 1983년에 스위스로 도망 가 숨어 사는 금융재벌이다. 그의 전처 데니스는 1993년 이후 클린턴 측 민주당에 100만 달러를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이 사면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공화당 의원들은 주장하고 있다.
데니스는 또 클린턴 부부의 개인 주택에 7천 달러 상당의 고급 소파를 선물하는가 하면, 힐러리의 뉴욕주 상원의원 선거운동에 7만 달러를 기부한 것으로도 드러났다. 더욱이 타임지는 아칸소 주에 세워질 '클린턴 도서관'에 40만 달러를 기부했다고 최근 폭로했다.
논란이 증폭된 뒤 의회 청문회가 시작돼, 지난 8일부터 하원 정부개혁위 소관으로 열리고 있다. 13일엔 의회가 심층 조사를 위해 소환장 발부에 나서, 민주당 전국위, 클린턴 도서관, 데니스 거래 은행 등 관계자의 출두를 요구했다. 국립 문서보관소, CIA, 국방정보국, 재무부, 검찰 등에도 리치 사면의 정당성 여부를 밝힐 모든 자료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하원과는 별도로, 상원 법사위도 14일부터 청문회를 개시했다.
이때문에 한 상원의원은 "사면 문제 때문에 클린턴이 또 한차례 탄핵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탄핵되면 클린턴은 전직 대통령으로서 누리는 연금, 사무실 임대료 지원, 경호 등의 혜택을 박탈당하게 된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지금은 앞으로 나아갈 때"라며, "조사에 반대한다"고 13일 말했다.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일들과도 매우 닮았으면서도 다른 모양을 동시에 가진 사건이라 더 관심을 끌고 있다.
외신종합=모현철기자 mohc@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