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외무성 대변인이 21일 발표한 담화를 통해 미국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면서 지난 99년 9월 발표된 미사일 발사유보 조치가 파기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나섰다.
이는 지난 99년 9월 독일 베를린에서 북.미 고위급회담이 진행된 직후 북한이 미사일 발사 임시중지를 발표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던 이 조치가 파기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가 지난해 10월 매들린 올브라이트 당시 미 국무장관에게 지난 98년 '광명성 1호 인공지구위성'과 관련해 "처음이자 마지막 인공위성 발사"라고 말했다는 점에서 볼 때 이번 외무성 대변인 담화는 상당한 우려가 섞인 입장 표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북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담화에서 "우리의 위성 발사가 순수 평화적 목적의 과학기술 개발에 지나지 않지만 그 위성발사가 미국의 안전에 문제가 된다면 대리발사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미사일 수출은 외화벌이를 위한 것이므로 그에 해당한 외화보상이 담보(보장)된다면 수출을 중지할 수도 있다는 타당한 제안도 여러 차례 미국측에 제기한 바 있다. 조.미 사이에 그 어떤 합의도 없는 만큼 이제 우리는 이전 행정부 시기에 내놓은 미사일 문제와 관련한 우리의 제안에 구태여 구속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미사일 협상이 진행되는 기간에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기로 하였지만 발사중지 문제를 무한정 끌 수 없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