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수능에서는 수능 9등급제가 도입되고 시험일정이 1주일 앞당겨졌다는 점 등을 제외하고는 출제방식과 세부내용에 있어 2001학년도 수능과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
그러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당초 예상보다 문제가 훨씬 쉬워 변별력이 없었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에는 어렵게 출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만큼 수험생들은 출제경향을 사전에 꼼꼼하게 파악한 뒤 시험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출제 기본방향=2001학년도와 마찬가지로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가능한 한 여러 교과가 관련되거나 한 교과내의 여러 단원이 연관된 통합교과적 또는 통합영역적 소재를 바탕으로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 위주로 출제한다.
수능 난이도는 상위 50%에 속하는 학생의 평균성적이 100점 만점 기준으로 77.5±2.5점 수준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해 상위 50%의 영역별 평균성적은 100점 만점 기준 △언어 90.0점 △수리.탐구 I 74.0점△수리.탐구 II 중 사회탐구 인문 87.5점, 자연 89.2점, 과학탐구 인문 85.8점, 자연 90.7점 △외국어 83.1점 등 평균 84.2점이었다.
지난해에는 당초 75점을 난이도 목표로 삼았다가 난이도 조절에 실패해 수능 평균이 27점이나 오르는 혼란이 빚어져 이번에는 재작년인 2000학년도의 77.5점 수준을 목표로 잡았다.
이를 수리.탐구 II 에서 분리된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제2외국어 영역은 원점수 활용 대학을 위해 선택과목간 난이도 조정에 특히 유념해 출제한다.
지난해 너무 쉬웠던 제2외국어는 6개 언어별 난이도를 비슷하게 맞춘 상태에서 지난해보다는 어렵게 출제되며, 수리영역은 쉬운 문제에 높은 배점을 주고 어려운 문제에 낮은 배점을 주는 '역배점'을 없애고, 언어영역에서는 교과서 지문이나 쉬운 문제 유형은 줄이고 새로운 문제 유형을 개발할 방침이다.
문항당 배점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동점자를 줄이기 위해 언어 1.8, 2, 2.2점, 수리영역 2, 3, 4점, 사회탐구.과학탐구 및 제2외국어 영역 1, 1.5, 2점 등으로 하되 문항의 난이도, 사고수준, 중요도, 소요시간 등을 고려해 차등 배점한다.
◇영역별 배점 및 시간=배점은 1교시 언어 60문항 120점, 2교시 수리 30문항 80점, 3교시 사회탐구 및 과학탐구 80문항 120점, 4교시 외국어 50문항 80점 등 총 220문항 400점으로 지난해와 같다.
4교시가 끝난 뒤 희망 수험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5교시 제2외국어 영역은 30문항 40점 만점이다.
◇영역별 출제범위 및 비율=2001학년도와 같이 언어, 외국어, 제2외국어는 계열 구분없이 공통 출제한다.
수리영역은 75% 정도를 공통 출제하고 나머지 25% 가량은 계열별로 구분 출제해 계열간 성적편차를 최소화한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에서 인문계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세계사, 세계지리 중에서,자연계는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중에서 1과목을 선택하면 되며 선택이 없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배점비율은 인문계와 예겷섦?瘟?6대4, 자연계는 4대6으로,인문계의 경우 전체 80문항중 48문항이 사회탐구에서, 32문항은 과학탐구에서 각각 출제된다.
제2외국어 영역에는 계열 구분없이 원하는 수험생만 응시하며,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에스파냐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등 6개 과목중 1과목을 고르면 된다.
제2외국어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내용과 수준으로, 발음 및 철자, 어휘, 문법, 문화 각 3개씩 12문항과 의사소통기능을 묻는 18개 문항이 출제된다.
언어영역에서 듣기문항 6개, 외국어에서 듣기.말하기 문항 17개가 각각 출제되만 제2외국어는 듣기평가가 없다. 수리영역에는 주관식 문항 20%가 포함된다.
◇채점 및 성적통지=각 대학의 수능시험 총점에 의한 학생선발 관행을 줄이고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중시하는 전형방식으로 다양화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총점 및 소수점 표기를 폐지하고 9등급제를 도입한다.
전체 응시생에게 상위 4%까지는 1등급, 이후 11%까지는 2등급 등의 순서로 최하위 9등급까지 등급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성적통지표에는 영역별로 원점수와 원점수에 의한 백분위 점수, 표준점수, 400점 기준 변환표준점수, 변환표준점수에 의한 백분위점수를 소수점이 아닌 반올림한 정수로 표기하고, 총점 대신에 변환표준점수에 의한 영역별 등급과 5개 영역 종합등급을 기재한다.
그러나 원점수의 경우 소수점 이하 점수를 반올림해 기재하면 원점수가 동일하더라도 백분위점수와 등급 등에서 차이가 발생, 수험생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에게 나눠주는 성적통지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한다.
다만 대학에 제공되는 성적자료 CD에는 원점수의 경우에도 소수점 이하 점수를 반올림해 정수로 처리한다.
제2외국어 점수는 5개 영역 종합등급에 합산하지 않고 별도 표기하며, 원점수,표준점수 및 백분위점수 등과 함께 표준점수에 의한 등급을 기재하되 응시과목명은 표시하지 않는다.
대학별 입시전형기간 확보를 위해 시험일(11월7일)이 1주일 정도 앞당겨진 데다 채점기간을 단축, 성적통지일은 12월3일로 지난해보다 9일 빨라진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