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처음으로 일본 교과서 왜곡문제에 대해 수정을 촉구하는 발언을 했다. 옳은 말이나 너무 늦은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 솔직한 국민의 심정이다. 김 대통령은 한.일 경제협회 일본측 회장단 등을 접견한 자리에서 한국 국민의 큰 불만을 전하고 "(앞으로)교과서 채택과정이나 새 수정 과정을 통해 원만히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교과서를 수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버린 뒤다. 따라서 사전 관여보다 효과가 낮을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동안 우리정부가 일본 교과서 왜곡문제에 대처하는 자세를 보면 정말 한심하다고 할 정도였다. "중국과 연대하지 않는다"든지 중국보다 약한 성명이나 대응을 하는 등 지금까지 우리는 소극적 대처를 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여유만 보여왔었다.
외교부의 지적처럼 주일(駐日)대사의 역할이 미흡한 것도 한 요인이겠지만 뒤늦게 일본 교과서 왜곡 대책반을 출범시키는 자체가 우리의 외교적 대응이 잘못된 예측에서 출발했다는 증거인 것이다.
21세기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하나만 믿고 일본이 이성적으로 행동해 줄 것으로 믿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미 일본은 역사교과서의 수정은 불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고 특히 오는 7월 참의원 선거가 있어 사실상 수정은 물 건너 간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다.
일본 교과서 왜곡문제는 미국이나 영국 등의 언론들도 우리의 분노를 상세히 보도하고 있으며 유럽한국 학회가 세계학자를 대상으로 왜곡항의 서명운동은 벌이고 있고 우리의 시민단체들도 상설기구를 출범시키려 하고 있다. 한마디로 온 세계가 들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경에 이르러서야 대통령이 한마디한다고 우리가 원하는 만큼의 외교적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이미 주일대사의 소환을 놓고 국내 여론 무마용이라느니 하는 해설을 쏟아놓고 있는 일본의 언론이 아닌가. 이쯤이면 우리외교는 그야말로 농락 당하고 있다고 봐도 될 것이다. 경제도 외교도 타이밍이 중요한 것이 아닌가.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