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에 뜨거운 찬반양론을 몰고 왔던 프로축구단 창단 문제가 17일 대구시의회의 반대 결정으로 일단 물밑으로 가라앉게 됐다.
하지만 대구시가 프로팀 창단에 대한 의지를 꺾지 않고 있는데다 현재로선 동양 최대인 7만석 규모의 내환동 구장의 마땅한 활용방안도 없어 프로축구단 창단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 일 수밖에 없다. 또 지난해 삼성상용차 퇴출 '악몽'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온 문희갑 대구시장도 이번 시의회 결정으로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됐다.
물론 대구시와 시의회가 공통분모를 찾을 수 없을 만큼 팽팽한 반대 논리로 맞서고 있어 양측의 갈등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단 시는 의회의 반대 결정에도 불구 이날 프로팀 창단 관련 조례를 7월 임시회에 재상정하겠다며 강수를 띄웠다. 여희광 문체국장은 "초기 창단 비용만 빼면 시의 재정적 부담이 거의 없으며 프로팀이 없을 경우 구장 관리비로만 연간 30억원의 지출이 불가피 하다"며 프로팀 창단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러나 시의회의 반응은 전혀 재론의 여지가 없을만큼 냉담하다.
프로팀 창단 관련 조례안에 대해 '가결이 안되면 유보라도 시켜달라'는 시측의 읍소작전에 일부 의원들이 한때 동의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결론은 교육사회위원회 소속 의원 전원의 반대로 부결됐다.
의원들은 "시측에서 프로팀에 대한 미련을 가지지 못하도록 서둘러 관련 조례안을 부결시켰다"고 밝힐 정도로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의회측의 반대 논리는 크게 시민 여론과 재정적인 문제로 요약된다.
우선 시부채가 2조원이 넘는 상황에서 시 부담으로 프로구단을 만들 경우 시민들의 비난이 쏟아질 수밖에 없으며 월드컵과 U대회가 끝나는 2003년 이후에 프로팀 창단 문제를 논의해도 늦지 않다는 주장이다.
또 수입은 늘리고 지출은 축소시키는 등 시가 제출한 '프로팀 경영수지 보고서'가 신뢰성이 부족해 시의 계속적인 추가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여기에다 '지방자치단체의 프로팀 운영은 문제가 있다'는 행정자치부의 부정적 입장도 한몫을 하고 있다.
따라서 시의회의 강경 분위기를 감안할때 프로축구팀 창단은 시의 강행 의지에도 불구 결실을 맺기까지에는 상당한 난관에 부딪힐 전망이다.
이재협 기자 ljh2000@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