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조건 '감원', 부작용 속출경쟁력 약화로 기업에 타격

불황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만능시 됐던 '감원'이 이제 기업들에게 심각한 결과로 되돌아 오고 있다. 인력 구조가 왜곡돼 일할 사람이 없어지는가 하면, 감원됐던 사람을 되불러 옴으로써 오히려 더 많은 부담을 떠안은 결과를 빚었다. 믿었던 아웃소싱이 되레 골칫거리가 되는 경우 역시 적잖다.

가장 심각한 것은 대부분 기업들이 6년여째 신규 채용을 중단함으로써 근로자들이 노령화.상급화돼 생산성이 하락한 것이다. 기업들은 불황 조짐이 나타나던 1996년부터 신입사원 채용을 중단, 현재 모 업체 한 부서 경우 전체 인력 7명 중 고졸 여경리 1명을 제외한 6명이 부장.차장.과장(4명) 등 간부이다.

다른 업체의 한 부서 역시 차장급 팀장 밑에 지난달 승진한 사람까지 합쳐 과장 5명에 대리 1명, 여직원 2명이 배치돼, 실무를 할 사람은 대리 1명 뿐이다. 한 업체 진모(32) 대리는 "일 할 사람은 없고 대부분은 결재 서류나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감원'이라는 전시 효과만 노리다 본말이 전도된 경우도 있다. 한 업체는 작년에 희망퇴직 형태로 내보냈던 고참 여직원들을 최근 촉탁으로 다시 채용했다. 숙련자가 부족해지자 일이 안돌아 갔기 때문. 회사는 결국 퇴직 위로금까지 부담하면서도 인심과 감원 효과는 잃는 겹겹의 손실을 입었다.

아웃소싱.하청 등 형태로 변형됐던 감원 만능주의도 비용 부담을 오히려 더 늘림으로써 모기업의 채산성이 악화된 경우도 적잖다. ㅍ사의 구조조정을 담당했던 김모(45) 차장은 "발표를 위한 전시성 결정이 많았고, 채권은행 요구와 최고 경영층 입맛에 맞추려 한 억지 구조조정도 적잖았다"고 했다.

이때 배태된 문제들은 지난해를 고비로 표면화되기 시작, 현장에서는 노동강도 악화와 직위·직급에 맞잖는 업무 등에 대한 불만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노동생산성 향상이라는 구조조정 본래의 취지와는 반대로 생산성 저하를 유발했다는 것.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신규채용을 재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인사 담당자들은 주장했다. 인천체철 인력운용팀 박종규 차장은 "인건비 추가 부담은 있더라도 신규인력 채용을 통해 기존 근로자에 대한 충격파를 던지는 운용책이 절실하다"고 했다.

포스코개발 윤두영 상무는 "채용 중단은 2∼3년 더 흐르면 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