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책자와 통역 같은 외국인을 위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아쉽습니다"대구가 생긴 이후 가장 많은 외국손님이 한꺼번에 몰린 대구전시컨벤션센터(EXCO Daegu) '2001 대구중소기업수출대전'. 그동안 변변한 국제행사 하나 없었던 대구로서는 이날 참가한 외국인 600여명의 움직임에많은 관심이 쏠렸다. 이번 수출대전은 앞으로 줄줄이 이어질 국제행사의 운영능력을 가늠하는 첫 '시험대'이기 때문이다.
외국인 대부분은 엑스코의 운영에 대해 대체로 만족을 표시했지만 대구가 국제적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행사의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에도 신경을 더 써야할 것을 주문했다.
외국인 바이어들이 가장 불편을 호소한 것은 언어문제. 외국인 바이어들을 위한 중소기업 소개책자는 한글과 영어로만 쓰여 있고 또 한글을 먼저 표기, 외국인들이 불편을 느꼈다. 그나마 간략한 회사정보만 실려 있어 외면당했다. 1층 로비 안내데스크에서 영어를 구사하는 안내원을 잘 찾지못해 외국인들이 쩔쩔 맸고, 오류 투성이의 영문 표기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아랍에미리트연방에서 온 바이어 소니(43)씨는 "전자명함을 배포하는 곳(Registration)을 Ticket Desk로 표기해 놓아 처음에는 무슨 뜻인지 몰랐다"며 정확한 영어 표기를 요구했다.
엑스코대구엔 모두 5개의 식당이 있지만 테이블이 태부족, 외국인들은 점심을 먹기위해 1~2시간 기다려야 했다. 메뉴도 외국인들의 식성을 고려하지 않아 불만을 샀다. 멕시코인 가르시아(36)씨는 "먹을 만한 음식도 별로 없고 식당에 사람들이 너무 많아 1층 로비에서 도시락을 먹었다"고 말했다.
호텔과 대구시가 협의해 운영하는 셔틀버스가 오전9시, 오후 5시 두차례만 운행한 점도 참가자에게 불편을 주었다. 일찍 상담을 마친 바이어들은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도 부족해 호텔로 돌아가기 위해 몇시간을 기다릴 수 밖에 없다. 아랍에미리트연방인 바그완(46)씨는 "전시관에 쉴 수 있는 공간도 부족한 데 버스를 기다리느라 저녁 5시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너무 힘들다"고 말했다.
센터측은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건물 밖에 만들어 놓았지만 차양막이 없어 외국인들이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 또한 건물 전체가 금연실이어서 흡연실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외국인들도 많았다. ㄷ호텔에 투숙한 한 외국인은 "날씨가 더운데도 에어컨디셔너를 틀어주지 않아 불편했다"고 말했다.
처음 대구를 방문했다는 오스트레일리아인 해리스(38)씨는 대구 시민들이 친절한 것이 인상적이라며 애정어린 충고를 했다. "외국인을 위해 조금만 더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쓴다면 앞으로 열리는 각종 국제대회에 외국인들이 많이 참석해 대구가 명실상부한 국제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현철기자 mohc@imaeil.com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