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일 지방자치단체장의 책임성 강화를 위해 주민소환제적 요소를 가미한 징계제도를 도입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지방자치제도 개선안을 잠정 확정했다.당 정치개혁특위(위원장 박상천)는 오는 7일 오후 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지방자치제 개선안을 확정한 뒤 당무회의 인준을 거쳐 당론으로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민주당이 마련한 '주민청구 단체장 징계제'는 유권자 20% 이상의 청구가 있을 경우, 중앙징계위에서 심의해 파면, 해임, 감봉, 견책 등 징계를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적인 징계제도에 주민소환제적 요소를 가미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주당은 대통령, 국회, 대법원장이 추천하는 9인으로 중앙징계위를 구성하고, 일반공무원보다 윤리규정을 강화한 '단체장윤리규정'을 만들어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며, 단체장이 징계에 불복할 경우 고등법원에 제소할 수 있도록 하는방안을 추진중이다.
박상천 위원장은 "주민소환제가 낙선자나 브로커, 집단민원에 악용될 경우 단체장의 행정력이 흔들리고, 중앙정부 위임사무까지 집행이 안돼 국가행정력 전체가 약화될 수 있으며, 단체장이 인기위주의 선심행정에만 집착할 수 있다"며 "주민청구징계제는 우리 현실과 선진국 사례를 종합해 새롭게 고안한 제도"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민주당은 주민투표제를 도입하되, 대상을 최소화하고 청구요건을 강화하는 등 제한을 가하고, 부단체장의 국가직화는 검토하지 않되, 책임성 강화를 위해 명칭을 '행정관' 등으로 바꿔 반드시 전문행정관료로 보임토록 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당 정개특위는 또 지방의원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유급제를 도입하고 기초의원정수는 축소조정키로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논란이 됐던 단체장의 3연임제와 대도시 구청장을 포함한 기초단체장 선거제도는 현행제도를 유지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