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외국어대(4년제) 설립을 위한 학교 신축 공사를 두고 일대 주민들 사이에 말이 많다. 경산 남천면 협석리 일대 산을 헐어, 대규모 산림 훼손으로 경관이 파괴될 뿐 아니라, 대학이 들어 서 봐야 주민들에겐 득이 없다는 것. 설립자가 지역출신 박재욱 국회의원이라는 점 때문에 의심이 더하다.
학교와 지역민이 분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 양측 이야기를 들어 보자.◇대규모 산림 훼손 = 경산서 청도로 가는 국도 옆 임상 좋은 산 7천800여평의 훼손 허가가 1998년에 났다. 더욱이 전체 면적의 93.5%는 보존임지. 재단 측은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강의동.행정동 각 1동씩을 짓는 공사를 하느라 허가 면적의 40% 정도를 민 상태이나, 계획대로 다 훼손할 경우 낙엽송.소나무 등 3천230그루가 잘려지게 된다고 경산시청 관계자는 말했다.
더욱이 훼손 현장이 도로에 바로 붙어 있어 행인들 보기에 흉하고, 공사로 인해 교통 소통도 다소간 지장을 받고 있다.
◇주민들의 불신 = 대학이 들어 서 봐야 주민들에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거부감의 출발점인듯 하다. 산 중턱에 있어 지역 개발과 연계되지 않고, 주민들의 이용조차 힘들 것이라는 얘기. 자연 경관만 해치고 교통 체증만 부를 뿐이라고 모두들 불만이 대단하다.
이것은 이 신축지에서 불과 몇백m 떨어져 있는 '경북 외국어 테크노대학'(2년제, 이하 경북외대) 설립 때의 경험으로 봐도 뻔 할 것이라고 주민들은 말했다. 경북외대가 개교한지 6년이나 됐지만, 학교 주변엔 상가 건물만 5동 정도 들어섰을 뿐 다른 지역 발전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는 것. '경북외대'와 '대구외대'는 재단 명칭만 다를 뿐 설립자는 동일인이어서, 주민들이 동일시하고 있다.
경산시청 역시 대학이 2개나 집중되는데도 불구하고 취락지구 개발 등 도시계획 기본안조차 수립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일부 주민들은 "국회의원이어서 대규모 산림 훼손 허가를 받을 수 있었던 것 아니겠느냐"는 의혹까지 공공연히 제기하고 있다.
◇재단.시청의 입장 = 대학 설립 업무를 맡은 경북외대 이춘갑 총무처장은 공사와 관련해 "현재는 산을 밀어 둔 상태라 보기 흉하겠지만, 건물을 짓고 조경을 잘 해 완공되면 외형도 좋아질 것" "말들이 많아 약간만 비가 와도 공사를 중단하고, 마른 날에는 분진 등 민원을 막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했다. 지역 발전과의 연계에 대해서는 "주민 기대가 적잖다는 것은 잘 알지만 학교측이 지역 개발을 위해 별도로 투자하기는 어려운 것 아니냐"고 했다.
이 처장은 또 "적법한 절차를 밟아 학교를 짓고 있는 중이고, 입지 승인도 이사장이 국회의원이 되기 전에 받은 것"이라며, 여러가지 말들을 "음해성 소문"이라고 단언했다.
경산시청도 비슷한 입장을 보였다. 허가가 정상적으로 나갔고, 산림청.환경청 등의 산림 훼손 관련 환경평가 절차도 거쳐 아무 문제가 없다고 했다. 나아가 작년 3월엔 사정기관으로 진정이 들어 가 감사원이 승인 과정 전반을 감사했고, 검찰 내사도 거침으로써 모든 것이 검증됐다고 했다.
경관 등과 관련해 신팔호 산림과장은 "이 정도 산은 개발하는게 맞다"고 했으며, 한정근 도시계획 담당은 "지금은 보기 흉해 말이 많지만 완공되면 괜찮을 것"이라고 했다. 또 "대학 주변에 대한 도시계획 수립을 준비 중"이라며, 지역 발전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경산.이창희기자 lch888@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