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호강변 도로 고가도 추진

대구시의 금호강 강변고가도로 건설 추진에 대해 동구청이 인근 7만여 주민들의 생활권 침해, 생태계 파괴, 지역발전 저해 등 이유를 들어 반발하고 있다.

동구청은 "유지수 확보, 생태공원 조성 등으로 금호강 살리기를 내세우고 있는 대구시가 다른 한편으론 금호강의 경관과 생태를 망가뜨리는 정책을 펴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대구시는 북구 산격동 종합유통단지 물류소통을 위해 2004년까지 종합유통단지~공항교 6.5km구간에 이어 2단계로 2008년까지 공항교~경산시 경계 14.2km구간을 폭 28m, 왕복 6차로도로를 완공할 계획이다.

공항교~화랑교~경산시 경계구간 도로의 경우 금호강 제방·둔치, 공항교, 아양교, 화랑교, 팔현마을 등지에 10~20m이상 높이의 고가도로를 건설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금호강변도로 9군데에 IC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공항교~화랑교 5km구간의 50~100m안팎에 인접한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포함, 7만여명의 주민들이 대기오염과 소음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더구나 소음방지를 위해 고가도로위에 방음벽까지 설치할 경우 조망권, 일조권 시비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막대한 예산을 들여 조성한 둔치와 제방, 하천부지, 하천바닥 등의 훼손으로 금호강의 생태계가 교란당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동구청은 최근 강변도로 건설 재검토를 요구하는 조사보고서를 대구시에 제출했다.

동구청은 "현재 건설·계획중인 대구~포항간 고속도로와 4차 순환도로, 기존 영천·경산간 국도 등으로 종합유통단지의 물류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강변도로를 건설할 이유가 없다"며 사실상 건설 자체를 반대하고 나섰다.

동구청은 또 "이같은 강변도로건설은 수십억원의 예산을 들여 금호강 안심습지 자연생태공원 조성, 동촌유원지 활성화 계획를 내놓고 있는 대구시의 환경 및 도시정비정책과도 엇나가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금호강변도로 건설에 대한 기본계획만 서 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며 "재원확보 등 시간적 여유가 많은 만큼 기본계획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