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통일토론회' 北 선전장은 안된다

북한이 28일 6.15 남북공동선언 1주년을 맞아 남북의 정당 사회단체가 참여하는 '민족통일 대토론회'를 열자고 제의해왔다. 이번 제의는 비록 민간 차원의 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축소되기는 하지만 남북 당국자간 대화가 3개월째 중단, 침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일단 남북교류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이번 통일대토론회는 남측 통일단체들이 망라된 민화협이 지난 4월, 6월15일~8월15일 통일촉진기간 공동행사를 위해 북측과 실무접촉을 가지려다 북측의 일방적인 취소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나와 이에 대한 '응답'의 성격도 있지만 진의에 대한 의문점도 많다. 북한은 이번 제의를 하면서 '주적 개념'과 '남조선의 외세와의 정치군사적 결탁'을 거론하고 대미 비난도 늦추지 않았다. 이에따라 자칫하면 과거의 범민족대회나 남북연석회의처럼 체제를 선전하는 정치 집회장화하지 않나 하는 우려감을 주고 있다. 북한이 만일 '6.15선언'을 김정일의 업적으로 자랑하며 '주한미군 철수'등 외세 배격 명분을 내세워 미국에 대한 강한 비난 전법을 구사한다면 앞으로 열릴 북.미간의 대화에서도 역효과를 내게 될 것이다. 이와 함께 과거처럼 참가대상과 의제를 둘러싸고 대립과 갈등을 빚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당간 입장차로 남남갈등을 빚게 되는 것도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정부는 6.15남북공동선언 1주년을 맞아 이번 행사가 회담 재개의 분위기가 조성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는 듯하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당국자간 회담이 열리는 것이 남북의 화해와 협력이라는 6.15공동선언의 정신을 살리는 길이라 본다. 이에따라 이번 '대토론회'가 민간 교류 차원이라도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당국간 대화 활성화에 도움이 되도록 남북당국과 각 단체들이 최대한 힘을 모아야 한다고 본다. 아울러 '금강산' 단일장소보다 한라산 등 남북의 2개 장소를 아우르는 행사 개최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