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900년 전인 서기 1101년 고려 숙종(재위 1096~1105년) 때 왕실도서관에 소장돼 있던 고문헌 5종이 일본에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은 왕조가 바뀌면서 조선 왕실도서관에 이관돼 있다가 일본으로 반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古書) 5종에서 고려 숙종 때 왕실도서관 소장품이었음을 밝혀주는 도장(인장)을 확인함으로써 드러났다.
고서연구가인 박철상씨는 옛 중국 백과사전인 '통전'(通典)과 중국 성씨의 유래를 설명한 '성해'(姓解)를 비롯한 일본 소장 고문헌 5종이 원래 고려왕실 소장본임을 증명하는 도장을 각각 찾아내고 그 결과를 최근 발간된 한국학 관련 계간 학술지인 '문헌과 해석' 2001년 여름호(통권 15)를 통해 공개했다.
나머지 3종의 문헌은 어떤 학설에 대한 주석서로 생각되는 '중설주'(中說注)와 역사책으로 짐작되는 '중광회사'(重廣會史) 및 한문 자전류로 추정되는 '신조입전설문정자'(新雕入篆說文正字)이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김성열] 대구시장에 출마하려면 답하라
"항소포기로 7천800억원 날아가"…국힘, 국정조사 촉구
[화요초대석-김영수] 국가가 망가지고 있다
[정경훈 칼럼] 권력이 물지 말라면 물지 않는 '권력의 개'
미국에 기운 관세협상 무게추…한국이 얻어낸 건 '핵잠'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