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문명비평가 마샬 맥루한이 '지구촌 사회'의 도래를 예고했던 것처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지구촌 사회'의 형성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생활의 편리를 증진시키는 정도를 넘어 인류의 생활방식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을 것 같은 기세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혁명이 궁극적으로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 아직 모른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장밋빛 청사진을 내놓고 있긴 하지만 정보화의 역기능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다. 심지어 조지 오웰의 소설에 나오는 '빅 브라더' 같은 전제정치의 출현을 우려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정보혁명은 피할 수 없는 추세이며 날로 탄력이 붙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의 순기능을 잘 살리면서 그 부작용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본다.
우리가 특히 정책적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부문이 정보 격차의 문제다. 정보격차란 인터넷 등 정보매체의 접근과 활용능력의 차이로 말미암아 초래되는 정보사회의 불평등 현상이다. 이런 정보 격차문제는 비단 개인뿐만 아니라 나라간, 지역간, 계층간에도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정보의 접근과 이용, 그 활용능력에 있어 가진 자와 가난한 자, 젊은 층과 노인층,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가 날로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장애인들의 정보소외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이러한 정보 격차문제를 방치할 경우 산업사회보다도 더욱 심각한 빈곤의 악순환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21세기는 하이테크와 하이터치가 함께 하는 '상생의 시대'여야 한다. 한스 마르틴과 하랄드 슈만은 '세계화의 덫'이라는 책에서 80대 20의 사회를 경고한다. 정보격차로 인해 그런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는 '정보화의 덫'을 우리는 경계해야 할 것이다. 경북도가 추진하는 '인터넷 새마을 운동'은 정보복지사회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소박한 노력의 일환이다. 산업시대에 새마을 운동을 통해 근대화의 불을 지폈듯이 21세기 정보시대에도 경북도가 앞장서서 정보혁명의 혜택을 온 도민이 누리게 하자는 것이 '인터넷 새마을 운동'의 참 뜻이다. 이를 위해 정보화 지도자를 양성하고, 정보통신망과 PC를 보급하며, 시범마을을 육성하고 이동교육을 실시하는 등 농어촌 정보화를 위한 다각적인 사업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모든 시책은 시,도민의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 내 고향 마을, 모교에 중고 PC 한 대라도 보내 디지털 경북을 살찌우자.
이의근(경상북도지사)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