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이 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은 경제문제(26.9%)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주는 사람은 자녀.부모(26.8%)이고, 증세는 짜증.신경질(55.9%)이 가장 많았고 어깨.목 뻐근함(14%), 두통(12.7%)순으로 조사됐다.
매일신문과 리서치넷이 네티즌 610명을 대상으로 최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네티즌들은 스트레스 해소방법으로 술(25.3%)을 가장 많이 이용했다. 이어 친구 만남(17.4%) , 담배(11.2%), 채팅.인터넷서핑(10.2%), 게임(9.5%), 쇼핑(4.3%) 순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으로도 스트레스는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답변했다. '전혀 해소되지 않는다(1.2%)' '거의 해소되지 않는다(61.2%)' 등 부정적인 답변이 '완전히 해소된다(0.5%)' '어느 정도 해소된다(5.9%)'는 긍정적을 답변을 압도했다.
한편 학생, 주부, 직장인 등 직업에 따라 스트레스의 원인에 큰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은 진로문제(33.6%)가 가장 큰 골칫거리였고, 성적(18.1%) 용돈(13.4%) 가정문제(10.7%) 친구와 갈등(8.7%) 이성문제(4.7%) 순으로 정신적 압박을 받았다. 주부들은 경제문제(36.2%) 자아정체성 위기(18.1%) 자녀문제(17.2%) 남편과 의사단절(10.3%) 고부갈등(9.5%) 가사노동(5.2%)이 스트레스의 주원인이었다. 직장인은 업무과중(30.9%)과 상사와의 갈등(26.2%), 동료간 갈등 및 고용불안(각각 11.6%)을 스트레스의 주원인으로 꼽아 외환위기 이후 노동강도 심화와 삭막해진 직장 분위기를 반영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