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성구청 정화조업체 담합 의혹

기초자치단체가 정화조 청소업체의 난립을 막는다면서 신규업체의 허가를 불허, 주민불편뿐 아니라 특혜 행정 의혹을 사고 있다.

대구 수성구 파동 청구하이츠, 범물동 청구타운 등 34개 아파트입주자대표, 부녀회장과 아파트생활문화연구소.대구참여연대.주택관리사협회 수성지회는 8일 수성구청이 정화조 청소업체를 제한해 청소 부실 등 피해가 크다며 주민청원서를 구청에 제출했다.

이들은 청원서에서 "구청이 정화조 청소업무를 기존 업체가 독점할 수 있도록 해 서비스 질이 떨어지고 주민들의 선택권이 없다"며 "구청은 독점적 대행권을 즉각 철회하고 자율경쟁 제도를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구청이 지난 3월 10일부터 업체 경영난을 이유로 정화조 청소요금을 기습적으로 올려준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구청은 업체들의 구체적 운영내역과 감사내용을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현재 수성구에는 ㄱ위생, ㅇ위생, ㅎ공사, ㅅ위생 등 4개 정화조 청소업체가 지역을 나눠 범어동은 ㅅ위생, 만촌.고산동은 ㅎ공사, 중.상.파동과 두산.지산.범물동은 ㅇ위생, 수성.황금동은 ㄱ위생이 대행하고 있다.

수성구는 지난 96년 조례로 정화조 청소요금을 750ℓ까지(기본요금) 1만3천920원, 초과 100ℓ마다 1천50원을 더 받을 수 있도록 했지만 업체들이 지난해 8월 기본요금을 1만380원으로 내린 뒤 지난 3월 다시 1만3천440원으로 담합해 올려 받고 있다.

주민들은 자율경쟁체제를 도입할 경우 청소비 인하뿐 아니라 청소를 더 자주 하게 돼 위생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주민요구에 대해 김규택 수성구청장은 "구청내 기존업체의 처리능력이 연간 15만7천㎘에 이르러 지난해 총 분뇨발생량 11만9천㎘보다 43%나 여유가 있다"며 "업체가 난립하면 요금 출혈경쟁이 벌어져 서비스가 부실해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아파트생활문화연구소 강현구 사무국장은 "일부에서는 구청에서 허가를 받은 4개 업체 중 3개 업체가 실질적으로 같은 회사라는 의혹도 있다"며 "주민들의 제도 개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화조 청소업무는 지난 84년 대구시에서 각 구.군청으로 이관됐으며 현재 북구 17개, 달서구 15개, 동구 12개, 서구.남구 9개 등 76개 업체가 대행하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