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계육상선수권 결산

지난 3일부터 13일까지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미국의 강세속에서도 세대교체와 평준화 등 육상계에 새바람이 일고 있음을 확연히 보여줬다. 특히 실력 평준화의 이면에도 한국은 세계 육상계의 높은 벽을 실감케 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일본의 약진이 더욱 두드러져 보인 대회였다.

한국은 이 대회에 남녀 마라톤에 4명을 출전시킨 것을 비롯해 7명의 선수를 파견했지만 숙원인 메달 획득은 제쳐놓고 한 명도 10위 안에 들지 못하는 부진한 성적을 남겼다.

다만 여자 경보의 김미정(울산광역시청)과 여자 마라톤의 윤선숙(서울도시개발공사)이 세계 정상급의 선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가능성을 보인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대 교체의 바람

이번 대회에서는 남자 100m의 모리스 그린(미국.3연패)과 남자 멀리뛰기의 이반 페드로소(쿠바.4연패) 2명만이 3연패 이상에 성공했을 뿐 지난 대회의 영광을 이어간 선수가 드물었다.

남자 1만m대회에서 5연패에 도전한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에티오피아)가 93년 이후 처음으로 패배를 기록하며 케냐의 신예 찰스 카마티에 의해 무너졌다.

또 약물 의혹이 있기는 하지만 여자 5천m에서 3연패를 노리던 가브리엘라 스자보(루마니아)가 올가 예고로바(러시아)에게 왕좌를 내줬고 여자 100m의 매리언 존스(미국)도 역시 3연패의 길목에서 자나 핀투세비치(우크라이나)에게 발목을 잡혔다.마이클 존스(미국)가 은퇴한 가운데 열린 남자 400m에서는 아바드 몬쿠르(바하마)라는 21세의 새로운 스타를 탄생시켰다.

또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남자 높이뛰기의 하비에르 소토마요르(쿠바)와 여자 멀리뛰기의 하이케 드렉슬러(독일) 등은 메달 획득에도 실패하며 퇴조를 보였다.

또한 대회 전체를 통틀어 3관왕은 없고 2관왕도 매리언 존스(미국) 단 1명에 그칠만큼 금메달이 고루 돌아간 점도 선수들간의 전력 평준화를 보여주는 대목.

▲대륙간 평준화 현상

남자 100m에서는 미국의 독식이 있었지만 여자 단거리에서는 북중미의 아성에 유럽의 거센 도전이 있었고 세계 무대에 명함도 못내밀던 일본이 전 종목에 걸쳐 눈부시게 성장했음을 보였다.

남자 100m에서는 미국이 메달을 휩쓸었지만 남자 200m와 400m에서는 각각 콘스타디노스 케데리스(그리스)와 몬쿠르(바하마)가 정상에 올랐고 핀투세비치(우크라이나)도 여자 100m에서 존스를 제치며 미국의 독주를 저지했다.

여자 400m 계주에서 독일과 프랑스가 전통의 강호인 바하마와 자메이카 등 북중미 국가들을 제치고 메달을 차지한 것도 이러한 경향을 드러낸 것.

마라톤을 비롯한 중장거리에서 아프리카의 강세는 더욱 공고해졌다.

대회 첫날 남자 마라톤에서 스페인의 대회 4연패를 저지하며 게자헹 아베라(에티오피아)와 시몬 비오트(케냐)가 1, 2위를 차지한 아프리카는 남자 5천m와 1만m, 그리고 여자 1만m에서는 모든 메달을 휩쓸며 검은 대륙의 저력을 과시했다.

아프리카는 여자 1천500m와 5천m에서만 금메달을 놓쳤을 뿐 남자 1천500m와 여자 800m에서도 정상에 올랐다.

한편 남자 마라톤에서 단체전 2위를 차지한 일본은 남자 해머던지기에서 무로후시가 은메달, 남자 400m 허들에서 다메스가 동메달을 차지하며 트랙과 필드 모두에서 세계선수권대회 사상 첫 메달을 따내 육상의 불모지였던 아시아 대륙의 잠재력을 일깨워주었다.

또 마지막날 열린 여자마라톤에서도 우승은 놓쳤지만 10위 안에 3명이 들며 단체전 우승으로 대회를 마감했다.

▲첫 북미 대회, 절반의 성공

한편 북미 지역에서는 처음 열린 이 대회는 이 지역에서 육상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킨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됐지만 세계신기록이 하나도 나오지 않고 운영 미숙으로 여러차례 진행에 차질을 빚었던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그리고 약물 문제는 새천년 첫 세계선수권대회에서도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 숙제로 남았다.

남자 100m에서는 풍속 측정기기의 작동 오류로 세계주니어신기록을 비롯한 일부 예선 기록이 인정되지 못했고 여자 장대높이뛰기에서는 높이 조정을 잘못해 혼선을 빚기도 했다.

12일 열린 남자 400m 계주 예선에서는 경기가 끝나고 한참 뒤에야 미국팀의 실격을 발표했다가 미국팀의 거센 항의에 부딪히자 한시간만에 철회하는 촌극까지 벌어졌다.

또한 약물 문제도 여전해 개막 이전부터 금지약물 양성 반응을 보인 예고로바의 출전 문제로 큰 파장을 일으키더니 캐나다 여자 100m 챔피언 베놀린 클라크 등 대회 기간 내내 약물 파동이 끊이지 않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