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런주장 저런현장

김천 공공근로자 중도포기 속출공공근로자들의 중도 포기가 요즘도 계속 나오고 있다.

김천시청 경우 지난 6월에 7∼9월 사이 일할 180명을 모집, 지원자가 너무 많아 선발에 애를 먹었으나 이미 18명이 그만 뒀다. 이는 개인적 사정 때문인 경우도 있으나 보수가 너무 적어 생계비가 안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천.강석옥기자 sokang@imaeil.com

팔공산.왜관.칠곡 식당가 구인난

칠곡 천평.왜관.팔공산 등 식당들이 최근 들어 종업원 구하기에 애를 먹고 있다. 월급도 80만~90만원에서 120만원대로 껑충 뛰었지만 구하기 힘들다는 것.

동명의 식당 주인 김영수(45)씨는 "중국동포 아주머니들조차 오전 7시부터 밤 11시까지 계속되는 식당 일이 힘들다며 대부분 2, 3일 일하다 떠난다"고 했다. 30여개의 기사 식당이 몰려 있는 천평에선 식구들이 나서서 대신 일하는 경우가 적잖다.

칠곡.장영화기자 yhjang@imaeil.com

전세금 융자 시-은행 기준 제각각

무주택 세입자에게 시.군청들이 전세자금 융자를 추천하고 있으나 은행들은 이를 무시하고 자체 잣대로 다시 선별, 문제가 되고 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은행들은 시청의 관련 서류를 인정 않고 대출 희망자의 신용.소득 등을 자체적으로 다시 평가, 상주시청 경우 근래 10명을 선정해 주택은행에 융자 협조를 요청했으나 그 중 4명이 탈락됐다. 이 때문에 세입자들은 "영세민의 사정은 생각 않고 은행쪽 기준만 고집하는 것은 이 제도 취지에도 어긋난다"고 비난하고 있다.

체신 휴면계좌 지역에 환원해야

보험료를 계속 납입치 못해 휴면계좌가 된 우체국 보험 계좌도 국고에 귀속시키지 말고 지역으로 환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상주우체국 경우 2년 이상 보험료를 못내 계약이 자동 소멸된 각종 보험 계좌가 1998년부터 작년 6월 사이에 98건이나 됐고, 그 결과 570여만원이 국고에 귀속됐다는 것.

지역민들은 "한국통신은 낙전 수입으로 교육 기자재를 사 환원하고 있지 않으냐"며, 우체국도 이런 전례를 따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상주.박동식기자 parkds@imaeil.com

목잘린 단군상 17개월 넘게 방치

울릉읍 봉래폭포 관광지구 내 단군상의 목이 작년 3월 잘려진 뒤〈사진〉 1년5개월이 지나도록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이곳은 연간 5만5천명이나 되는 관광객이 거치는 곳이지만 정비되지 않고 있는 것.

단군상은 한문화운동연합이 1999년 4월 세웠으나 특정 종교단체가 "공공 부지에 세우는 것은 옳잖다"며 군청에 철거를 요구해 왔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imaeil.com

고용촉진 훈련 중도탈락 17%나

많은 돈을 들여 고용촉진 훈련을 시키고 있지만 일부 낭비가 심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수강료를 전액 국가(국비 80%, 지방비 20%)가 부담하자 취업 의지도 없으면서 취미.교양 목적으로 수강하는 일이 많고 중도 포기자도 속출한다는 것.

10개 고용촉진 훈련기관이 있는 경주 경우 작년에 3억5천만원을 들여 440명을 위탁 교육시켰으나 31.5%인 139명이 중도 포기했고, 수료 후 취업자는 17%(75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도 7월 말까지 1억9천여만원을 들여 296명을 교육했지만 이미 16.8%(50명)가 포기했고 취업자는 0.4%(13명)에 불과하다.

경주시청 관계자는 "선발을 엄격히 하고 자격 취득을 의무화하거나 취득자에게 취업 알선 등 인센티브를 주는 쪽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릉원 매점 신축 영세상 반발

경주 대릉원 주차장에 민간자본으로 현대식 화장실을 지으면서 매점도 함께 건축, 인근 영세상인들의 반발하고 있다.

시청은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이곳 135평 땅에 7억8천만원을 들여 40평 크기의 현대식 화장실을 신축키로 하고 문화재 형상변경 허가, 매장 문화재 발굴 등 절차를 끝낸 뒤 자체 자금으로 부지 매입도 끝냈다. 신축 건물에는 6.73평 짜리 매점도 끼어 설계돼 있다.

이에 주변 30여명의 영세상인들은 "가뜩이나 장사가 어려운데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반발하고, 이상문 시의원도 "좁은 공간에 화장실과 매점을 함께 넣으면 오히려 관광지 이미지를 나쁘게 할 수 있다"며 재검토를 요구했다. 그러나 사적공원 관리사무소 정연곤 소장은 "민간자본으로 화장실을 지으려면 불가피한 일"이라고 했다.

경주.박준현기자 jh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