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램 현물가=고정거래가 기현상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일부선 "가격반등 신호"사상최악의 D램 값 폭락행진으로 D램 현물가와 고정거래가의 차이가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통상 고정거래가는 현물가보다 높게 형성돼 왔으나 수개월째 이어지는 현물가 하락행진으로 D램업계가 고정거래처의 거래가 인하압력을 견디지 못함에 따라 가격차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5일 아시아 현물시장 전자상거래 중개업체인 'DRAMeXchange.com'에 따르면 지난 4일자로 업데이트된 128메가 D램(16Mx8 133MHz)의 고정거래가는 기종과 업체별로 개당 1.35~1.10 달러로 내려갔다.

이는 2주전인 9월 중순에 비해 12.0~6.89% 하락한 것으로 개당 1.33~1.10 달러에서 거래되는 현물시장 가격과 거의 같아졌다.

차기 주력제품인 256메가 D램(32Mx8 133MHz) 역시 고정거래가가 2주전보다 16.66~10.71% 하락한 개당 3.00~2.50 달러로 현물시장 가격(개당 3.00~2.45 달러)과 별 차이가 없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고정거래가는 안정적 공급선 확보차원에서 현물가에 일종의 '프리미엄'이 붙는 성격이기 때문에 지진 등 천재지변을 빼고는 고정거래가가 현물가 수준으로까지 떨어지는 것은 극히 드물다"며 "이미 3-4개월 전부터 가격차가 좁혀지기는 했지만 고정거래가와 현물가가 같아진 것은 시황이 극도로 악화돼있다는 반증으로 D램 메이커로서는 엄청난 원가부담을 안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그러나 고정거래가와 현물가가 같아진데다 차기 주력제품 256메가D램이 지난달말부터 개당 3달러 밑으로 떨어진 것을 두고 D램 가격이 바닥을 치고 반등하는 신호로 해석하는 분석도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