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3인은 누구?

미국 버클리대 조지 애커로프 교수(61) 등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은 정보가 공평하게 전달되지 않았을 때 빚어지는 경제왜곡현상을 분석, 새로운 이론을 만들었다조지 애커로프 교수는 이른바 '정보 비대칭이론'의 창시자.

애커로프 교수는 예컨대 중고차 시장에서 정보가 공평하게 공유되지 않으면 양질의 중고차 매물이 낮은 평균 가격에 만족하지 못해 시장에서 철수하는 왜곡현상이 빚어진다고 분석했다.

버클리대에서 그에게 거시경제학을 배운 서울대 김완진 교수는 애커로프 교수가 강의노트에 농담을 던지는 시기까지 메모를 하고 있을 정도로 꼼꼼하며 학기말 시험이 끝나면 도넛을 박스채 담아와 학생들에게 나눠줄 정도로 자상한 면이 있었다고 전했다.

공동수상자인 스탠퍼드대 마이클 스펜스 교수(58)는 정보격차 해소방안으로 시장의 신호기능(마켓 시그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고려대 윤창호 교수는 소개했다즉, 불완전한 정보로 인한 시장기능의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학력 인정 졸업장이나 자격인증서 등 사회적 보완장치가 필요하고 교육기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윤 교수는 전했다.

컬럼비아대 조지프 스티글리츠(54) 교수는 개발도상국의 입장에서 경제정책 이슈를 제기했다고 그와 함께 세계은행에서 근무했던 전광우 우리금융지주사 부회장은 소개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정보 비대칭 이론과 관련, 많은 논문을 내고 왕성한 연구활동으로 경제학계에서는 그의 노벨상 수상을 시간문제로 여길 정도였으며 국제통화기금(IMF)의 고금리정책을 비판해 기조를 바꿀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고 전 부회장은 덧붙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