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늘의 포커스-'친북정권' 파문

여.야는 한나라당 안택수 의원의 10일 '대통령 자진사퇴' 발언과 '김대중 정권은 친북세력'이라고 한 김용갑 의원의 11일 통일.외교.안보분야 대정부질문 원고내용을 둘러싸고 치열한 색깔공방을 벌였다.

◇기름부은 원고=사전 배포된 김 의원의 원고는 현 정권을 '친북세력'으로 규정, 파문이 일었다. 원고에는 '김대중 정권 출범의 의미는 체제 내의 정권교체가 아니라 반북세력에서 친북세력으로 넘어간 것이었다'며 '김정일 독재집단을 찬양하는 일부세력들이 우리 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대한민국 정통성이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정권은 친북좌파적 시각에 따라 김정일 수령체제의 강화를 앞장서 돕고 있으며 현 정권과 김정일이 연대, 남한내 보수우익 세력의 씨를 말리기위해 보수언론을 말살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격앙된 민주당=최고위원회의 도중 김 의원의 대정부질문 원고가 전해지자 회의장은 순식간에 냉각됐다.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이상수 총무) "비열한 행동"(이인제 최고위원) "모략정치의 일환"(노무현 최고위원)이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의총에서 설훈 의원은 "이회창 총재 부친은 여순반란사건 당시 오제도 검사에게 구속됐었다. 이 총재는 이런 가계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민족일보 조용수 사장을 '사법살인'하는데 앞장섰다"며 이 총재를 겨냥했다. 설 의원은 또 "부친의 행위 때문에 레드 콤플렉스를 느껴 비이성적.극우적 행동이 나온다"는 말까지 했다.

이재정 의원은 울먹이기까지 하며 "이게 국회인가. 숱한 고생과 역경을 이기고 여기까지 왔는데..."라며 "의원직을 걸고 이 총재 퇴진까지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의원도 "국회를 다시 열지 못하는 한이 있더라도 김 의원을 국회에서 퇴출시켜야 한다"고 비난했다.

◇발끈한 한나라당=한나라당은 민주당이 거세게 반발하자 "자진사퇴 요구발언 한마디에 청와대가 대노하고 뒤늦게 민주당이 국회를 공전시키는 것은 '제왕적 정권'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 꼴"이라며 책임을 여당쪽에 돌렸다. 권철현 대변인은 12일 당3역회의에서 "여당이 대통령 말 한마디에 사시나무 떨듯하는 상황에 입을 다물 수 없다"며 "대통령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의 당연한 책무"라고 반박했다.

전날 열린 의총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대세였다. "국회의원의 소신 발언"(이재오 총무), "청와대의 전화 한 통화로 국회가 파행됐다면 파행책임은 청와대가 져야 한다"(이원형 의원)는 주장들이 속출했다.

특히 이병석 의원은 "여당 의원들이 이 총재를 언론.인권탄압의 주모자로 날조하며 정계은퇴 운운했다"며 "속기록을 삭제하려면 여당 의원들의 모욕적 발언도 전부 삭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혔다.

파문 당사자인 김 의원도 "일부 문구를 교체할 뜻도 있다"면서도 "6.25를 통일시도라고 한 주장은 친북좌파 세력의 논리와 완전 일치하는 것"이라고 맞섰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