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당 김용환 대표와 무소속 강창희 의원의 한나라당 입당이 내년 지방선거와 대선 등 정국에 미칠 파급 효과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들이 충청권에서의 JP 대체재라는 평가뿐 아니라 향후 정계 개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레 제기돼 정치권을 긴장시키고 있다.
두 의원의 입당은 당장 한나라당과 자민련의 2야 협조체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이번 영입으로 충청권 특히 대전과 충남의 교두보를 확보한 반면 자민련은 충청권에 대한 JP의 세력 약화가 예상되는 등 반대 입장에 처하게 됐기 때문이다. 충북지역은 이미 한나라당의 세 확보가 이뤄진 상황이다.
또 YS와 JP의 신당 창당 움직임이 가속화할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다. 물론 한나라당 민주계의 동조 움직임이 미약한 현실을 고려할때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JP가 한나라당의 의원 영입을 자민련 흔들기로 판단할 경우 신당 창당을 적극 추진할 개연성이 높다. 신당 창당설에 동조한 YS 역시 정치적 이미지에 입은 타격을 만회하기 위해 적극 동조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입당은 한나라당과 김용환 대표 등의 이해 관계가 일치한 것으로 분석된다. 3김 청산을 내세운 이회창 총재는 정치 고수인 JP를 끌어 안기가 매우 부담스러운 반면 김 대표 등은 한-자동맹이 진행될수록 차기 충청권 대표주자라는 입장을 잃어 버릴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여진다. 때문에 김 대표 등은 당초 내년 지방선거를 전후해 입당할 것이라는 주변의 예상을 깨고 조기 입당으로 선회했다. 김 대표는 "JP가 영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입당 배경을 설명했다.
정치권은 위기에 처한 JP가 특단의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정기국회가 끝나는 12월이나 내년 초 정계의 새판짜기가 가능할 것으로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자민련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탈당 도미노 현상으로 의원 3, 4명만 잇따라 이탈하더라도 당 존립 자체가 위태롭게 된다. 이미 일부 의원들은 본인들의 부인에도 불구, 이적설이 나돌고 있다.
여기에 민주당의 정국 운영 능력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자민련의 위기 상황 방치는 한나라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로 이어져 결국 민주당의 대선정국 운영에 지장을 받게 된다.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올 연말 이후 자민련 일부와 한나라당 특정 세력들을 흡수할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한 관계자는 "자민련은 DJP 공조 파기로 힘겨운 정치 행로를 벌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진홍기자 pj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