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솔솔 부는 대화정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용호게이트 등 각종 권력형 부정부패 의혹으로 첨예한 대치전을 거듭해온 정국이 10·25 재·보선 이후 대화국면으로 선회하고 있다. 세 곳 선거에서 전승한 한나라당은 향후 정국에 대한 자신감을 토대로 대여관계에서 유연한 자세를 취하기 시작했으며 민주당 역시 국정운영에 야당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판단 아래 한나라당과의 관계정상화에 적극 나서기로 한 것이다.

이같은 기류와 맞물려 양측 모두 정쟁을 가능한한 지양, 경제·민생문제 해결에 주력키로 했으며 총무들도 그동안 공전돼온 상임위 활동을 재개키 위해 내주중 회담을 갖고 내년도 예산안심의 등의 일정을 조율키로 했다. 여야 경제협의체도 재가동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영수회담 개최론 역시 부상하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이번 재·보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수용, 야당과의 관계를 전면 재검토키로 하는 등 대화정치를 본격 모색키로 했다. 한광옥 대표는 "선거에 나타난 민심은 여야간 극한대립의 정치를 지양하고 생산적 정치를 하라는 것인 만큼 야당과 협력하고 대화하는 정치를 통해 민생·국정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중산층과 서민, 농어민들을 위한 정책개발에 주력키로 했다.

한나라당 역시 1석만 추가하면 원내 과반수가 될 정도의 제1당으로 부상한 것 만큼이나 정국운영에 대한 책임감을 의식, 향후 국회활동을 통해 예산안이나 민생·개혁법안 등의 심의과정에서 여당과 가능한한 협조해야 한다는 분위기이다.

이회창 총재도 "야당도 국민의 기대에 어긋나면 가차없는 심판과 징벌의 채찍이 있을 수 있는 만큼 대결보다는 협력으로 상생의 정치를 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이때문에 이용호게이트 등 권력형 비리의혹과 관련된 국정조사 및 특검제, 언론사 세무조사 청문회 등의 협상에서도 신축적인 입장을 취할 것으로 전망되며 실제로 이용호게이트에 대해선 국정조사 요구를 철회할 것이란 얘기까지 들리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각종 비리의혹에 대한 폭로전도 자제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년 양대 선거일정을 감안할 경우 대화정국은 일시적일뿐 결국 대치전으로 또다시 치닫을 것이란 관측이 일반적이다. 이 총재가 "국민이 분노하는 부정과 비리, 국정혼란과 기본질서의 붕괴에 대해선 야당의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 못박은 데다 예산안 등 각종 현안에 대한 여야간 입장차가 현격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정국상황에 따라 언제든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