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문은 왜 오전 9시30분에 열고 오후 4시30분에 닫을까? 모든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오전 9시에 업무를 시작하고 오후6시에 문을 닫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시간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고객들은 "유독 은행만 영업시간이 짧으냐"며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은행의 영업시간이 이처럼 획일화 돼 있는 것은 금융단(은행연합회전신)협정 때문. 금융단은 은행 영업 시간을 자율화 할 경우 은행간 과당 경쟁을 우려해 '오전 9시30분 개점, 오후 4시30분 폐점'이라는 공동 규칙을 만들어 의무적으로 시행토록 했다.
당시에는 주산을 이용해 모든 계산을 할 때였으므로 4시30분에 문을 닫아도 실제 업무 마감에 많은 시간이 걸려 은행원들의 퇴근은 두세시간 이상 있어야 가능했다그러나 현재는 금융단 협정이 사문화 돼 있고 모든 업무가 컴퓨터화·자동화 돼 있기 때문에 마감에 걸리는 시간은 크게 줄어들었는데도 은행들은 이 규정을 고수하고 있다.
이유는 우선 영업시간을 연장해봐야 성과가 그만큼 없다는 것. 서울 동대문상가 주변이나 다른 대도시 시장·백화점 지역에서 영업시간을 연장 또는 변경해봤지만 큰 재미를 못봤기 때문에 차별화 하던 은행들도 다시 환원하는 추세.
영업시간 연장이 노동조합과의 합의사항이라는 점도 현행 방식을 고수케 하는 요인이다. 근무시간을 늘릴 경우 시간외 수당을 줘야 하는데 시간을 연장해 버는 것보다는 지출비용이 더 많게 된다.
대구에서는 대구은행이 나이트뱅킹제를 도입, 일부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미미한 수준. 밀리오레 출장소가 오전 10시30분~오후8시까지, 시청 및 각 구청출장소가 공무원 퇴근시까지 영업을 한다.
류창섭 대구은행 소매영업기획팀장은 "영업점 직원들의 실제 업무시간은 겉으로 드러난 영업시간보다 훨씬 길다"며 "그렇지만 고객 서비스 증진 차원에서 은행별 영업시간 차별화는 빠른 시일내 시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정암기자 jeong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