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3일 이스라엘의 테러전 선언을 '자위권 행사'로 인정하며 이에 사실상 동조하고 나서 9.11 테러이후 중립적 입장을 취했던 미국의 중동정책이 또 다시 친이스라엘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유엔총회는 이날 예루살렘에 대사관을 두고 있는 모든 국가에 대해 공관을 다른 도시로 이전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를 포함, 모두 6건의 이스라엘 비난 결의를 채택하는 등 비난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은 이날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스라엘의 보복공격에 언급, "이스라엘은 주권국가로 자위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부시 대통령의 입장"이라며 이스라엘의 테러전 선언과 군사공격을 묵인하고 나섰다.
부시 대통령과 샤론 총리는 워싱턴 회동에서 이스라엘 자살폭탄 공격을 테러행위로 규정,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에게 이슬람 테러리스트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라며 압박을 가했다.
그러나 미국의 이같은 외교대응은 9.11 테러참사 직후 중동분쟁 중재를 둘러싸고 취한 입장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이슬람 아랍권의 공조 내지 중립을 얻어내기 위해 지난달 초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을 지지하는가 하면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에서의 이스라엘군 즉각 철수를 요구, 전통적 동맹국인 이스라엘과의 불편한 관계를 감수하기까지 했다.
급기야 샤론 총리는 "이스라엘을 희생하면서까지 아랍권의 환심을 사려하지 말라"며 어느 때보다도 강도높게 미국에 경고하는가 하면 당초 지난달로 예정됐던 워싱턴 방문일정까지 연기하는 등 강력 반발했다. 그러나 다시 미국이 이스라엘에서 발생한 테러사건을 계기로 이스라엘 측의 보복공격에 동조입장을 취함으로써 미국의 중동정책이 회귀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유엔은 이날 총회에서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항구적이며 분리할 수 없는 수도라고 선포한 이스라엘 기본법은 불법이고 무효이며 아무런 타당성이 없다고 선언했다.
이스라엘 비난 결의는 130표의 지지를 얻었으며 이스라엘과 함께 반대한 국가는 나우루 뿐인 반면 미국을 포함한 10개국은 기권했다.
류승완기자 ryusw@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