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 쇄신안 연내 합의 힘들듯

민주당의 정치일정 및 쇄신안 논의가 지연되고있는 가운데 연내 합의안 도출이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민주당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연속 당무회의를 열어 '당 발전.쇄신특대위'가 보고한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특별결의안'을 논의했으나쇄신연대와 박상천 상임고문이 독자 쇄신안을 제출함으로써 논의가 한층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데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크게 엇갈려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민주당은 특대위가 제출한 8개항의 쇄신안을 차례대로 논의하되 이견이 있는 부분은 쟁점토론으로 넘기는 방식으로 토론을 진행하기로 함으로써 장기화가 불가피해졌으며 21일 당무회의에서도 지도체제 개편안을 놓고 격론을 벌인 끝에 이 문제를 쟁점토론에 넘기기로 하고 끝을 맺었다.

민주당은 오는 24일 당무회의를 다시 열 예정이나 △대선후보 선출방식 △대선후보와 당 지도부 중복출마 허용여부 △대선후보 선출시기 등 계파간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쟁점사안들이 산적해있어 합의안 도출은 새해로 넘겨질 것으로 보인다.

또 특대위의 특별결의안이 통과될 경우 이와 충돌되는 현행 당헌.당규의 효력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특별결의안만으로 실질적인 전당대회 준비가 가능하도록 했던 조항을 조성준 의원의 문제제기로 삭제토록 함으로써 특대위안이 통과된 후에도 당헌.당규의 개정문제라는 새로운 논란거리를 남겼다.

한편 21일 회의에서 당무위원들은 총재직 폐지와 집단지도체제 도입에는 공감했으나 원내총무와 정책위의장, 당 대표의 권한 배분을 놓고 뚜렷한견해차이를 드러냈다.특대위는 정무위원회를 두고 정책위의장과 원내총무에게 정책.예산, 원내문제에 대한 배타적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내놓았고, 쇄신연대는 총재와 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48인 안팎의 중앙집행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했으며, 박상천 고문은 의장과 총무의 지위를 현행대로 하고 대표에게 인사.정책 제안권을 주자는 의견을 냈다.

임채정 특대위 부위원장은 "중앙집행위 안은 원내와 원외를 이원화하고있으며 지방조직의 분열상을 노정하고 계보정치를 전국화할 수 있다"며"박 고문의 수정안은 지나치게 당권.대권에 경도될 우려가 있으나 총무와 의장간에 이견이 있을때 정무위에서 조정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은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쇄신연대 이재정 의원은 "원내외 분할이 아니라 국회의원과 시도지부가 함께 하는 것이므로 통합적 기능이 있다"며 "지방자치시대에각 지역의 균형있는 발전과 대표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전국을 대표하는 정당이 돼야 한다"고주장했다.

안동선 상임고문은 "총무와 의장에게 정무위원 자격까지 부여해 힘을 실어주면 당 대표가 당을 이끌고 가는 기능이 없어진다"며 "총무와 의장의 권한에제동장치가 없다"고 말해 박 고문의 의견에 동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