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두고 논란을 빚고 있는 민주당의 내부 진통이 길어지고 있다.
조기전대론에 찬성하는 주류측에서 수적 우위를 내세워 표대결도 불사한다는 입장을 보이자 한화갑 고문 등 비주류측에서 발끈하고 나선 것이다. 이에따라 전당대회 시기를 의제로 올린 당무회의는 다른 사안 때와 달리 연이틀 신경전을 거듭했다.
그러나 한광옥 대표와 특대위측은 정치일정과 쇄신안의 연내 마무리는 대국민 약속이라며 연내 처리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한 대표는 실제로 끝내 타협이 안될 경우 표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그러나 27일 열린 당무회의에서 "끝까지 합의를 도출하는 게 내 소신"이라며 일단 연막을 쳤다.
조기전대론의 중심에 서 있는 이인제 고문은 표대결을 위한 자체 정비에 들어갔다. 26일에는 자신의 측근 의원들과 지구당위원장 30여명을 초청해 결속을 다지는 저녁모임을 갖기도 했다. 이 모임은 당무회의에서 표대결로 갈 경우를 대비한 성격이 강했다.
이같은 주류측의 움직임에 한화갑 고문 등 비주류측은 잔뜩 긴장했다. 연내 처리 시한(28일)을 하루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조기전대론으로 낙착될 것이 분명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한 고문은 이날 김근태·정대철·김원기 고문 등 조기전대론에 반대하는 인사들과의 회동을 추진했다. 한 고문은 이날 회의에 앞서 "표대결도 민주적 방법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당신이)입당했느냐"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게다가 노무현 고문이 비주류측과 상반된 입장을 밝히기 시작하면서 비주류측은 더욱 곤경에 빠져들었다. 노 고문은 이날 회의에서 "표결처리도 한 방법"이라며 사실상 주류측의 손을 들었다.
이에따라 전당대회 시기를 둘러싼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이 자칫 당분열을 가져오는 것 아니냐는 성급한 관측도 나오기 시작했다. 당 핵심 관계자는 "특대위안에 대해 표결을 하는 것은 주류나 비주류 모두 좋을 것이 없다"며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