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계명대 동산병원에 입원중이던 백혈병환자 정모(8)군은 자신에 맞는 혈소판을 구하지 못해 사경을 헤매고 있었다. 사흘째 혈소판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위험한 고비를 맞자 가족들은 발을 굴렀다. 이들 앞에 '천사'가 나타났다. 애타는 소식을 듣고 달려온 헌혈모임 '아름다운 사람들의 이야기'회원들이다.
헌혈에 대한 사회적 참여가 절박한 요즘, 헌혈에 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20,30대 젊은 직장인과 대학생들. 지난해 4월 PC통신을 통해 만난 이들은 백혈병 어린이를 도울 방법을 궁리하다 피를 나눠주기로 의기투합했다.
"병원에서 골수검사로 고통스러워하는 어린 백혈병환자들을 보고 가슴이 아파 헌혈을 하기로 했습니다". 평범한 유통업체 직원인 회장 김성희(29·여·북구 침산동)씨는 지난해 인터넷 카페를 개설, 뜻을 같이 하는 80여명을 모아 헌혈도 하고 도와줄 백혈병 어린이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이들 중 10여명은 매월 두 차례 혈소판, 백혈구 등 '성분헌혈'을 주로 한다. 지난 10개월 동안의 성분헌혈 횟수만 모두 100여회, 한번에 500㏄를 뽑는다.
매월 1, 2차례 피를 뽑는 일은 정례행사로 굳어졌다. 정기적으로 계명대 동산병원을 찾아 헌혈을 하고, 두 명의 백혈병 어린이에게 혈액과 후원금·헌혈증서를 보태고 있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헌혈을 해왔다는 회원 이원익(25·한국섬유패션기능대)씨의 헌혈 횟수는 125회. 이씨 외에도 회원 중에는 100회 이상 헌혈자가 2명, 30회 이상이 5명이다.
김성희 회장은 "헌혈은 남들에게 '생명'을 나눠주는 숭고한 일"이라며 건강이 허락하는 한 평생 헌혈로 보람을 찾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李 정부, '4년 연임 개헌·권력기관 개혁' 등 123大 국정과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