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늘의 포커스-시한넘긴 '원구성'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6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 문제가 법정시한인 25일까지도 진전을 보지 못한 채 민주당과 한나라당간에 팽팽한 힘겨루기를 계속, 장기표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조기 원구성을 촉구해 왔던 한나라당 조차도 의장단 선출에 한해 임기 만료일인 오는 29일까지 우선 매듭짓는 쪽으로 후퇴하고 있으나 민주당은 상임위원장 배분문제와의 일괄 타결을 주장하고 있어 후반기 원구성 협상은 지방선거 이후에나 본격화할 전망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당소속 의원들을 비상 대기시킨 가운데 27일부터 총무회담을 재개, 막판 협상을 벌일 계획이어서 극적인 타협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으나 양당의 입장 차이가 여전히 현격한 상태다.

따라서 이같은 '국회 공백'으로 각종 민생법안 처리는 또 다시 뒷전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나라당은 "대통령의 당적이탈로 여야 개념이 사라진 만큼 원내 제 1당이 국회의장을 맡아야 한다"는 논리인 반면 민주당은 "현실적으로 대통령과 정부 정책을 계속 뒷받침하는 여당역할을 하고 있어 전반기 국회때처럼 의장직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에선 크로스 보팅(자유투표)을 통해 의장단 선출을 매듭짓자는 절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민주당은 아직 소극적이다.

16개 상임위 및 3개 특위(예결특위, 윤리특위, 여성특위) 위원장배분 문제도 골칫거리이다. 물론 한나라당과 민주당, 비교섭단체(자민련 포함)간 배분비율을 9대 8대 2로 한다는 데는 양당이 의견접근을 보이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각당이 어느 상임위를 차지할 것인지에 대해선 맞서 있다.

한나라당은 제 1당이란 점을 근거로 운영위원장직을 갖는 것은 물론 예결위와 문광위 행자위원장직을 요구하고 있으나 민주당이 강력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난항속에 민주당은 물론 한나라당도 상임위원장 배분문제를 현실적으로 지방선거 이후에 논의할 수밖에 없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