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월드컵 축구대회 16강 진출 가능성이 한껏 고조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대기업의 16강 마케팅 열기는 빠르게 식고 있다.
현재 분위기라면 16강을 넘어 8강 마케팅까지 마련해야 할 판이지만 국제축구연맹(FIFA)의 공식후원사가 아닌 대다수 업체들로서는 더이상 마케팅을 확대했다가는 추후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월드컵 공식후원사가 아닌 비후원업체들은 최근 FIFA측이 월드컵을 광고·마케팅 등에 활용할 경우 제재할 것임을 강력 시사함에 따라 기존 16강 진출에 맞췄던 마케팅 전략을 수정, 월드컵 관련 마케팅을 자제하고 있다.
특히 일종의 '매복마케팅(Ambush Marketing)'으로 월드컵 마케팅을 해온 일부업체들은 16강은 물론 8강 진출까지 내다보고 '포스트 16강' 마케팅 전략을 구상했다가 이를 백지화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10일 전국 1천여개 대리점에 공문을 내려 보내고 16강을 뜻하는 '16'이라는 숫자를 활용한 마케팅이나 '월드컵'이라는 용어를 이용한 경품이벤트 등을 자제할 것을 주문했다.
LG전자 판촉팀 관계자는 "대리점 사이에 월드컵 또는 16강 진출을 이용한 마케팅 경쟁이 불붙을 것으로 보여 주의를 내린 것"이라며 "16강 진출때 HD급 플라톤TV 구입고객에 대한 경품행사를 제외하고는 일체의 16강 마케팅을 계획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