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100조원이 넘는 공적자금 투입으로 인해 재정에 전가되는 부담이 8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대규모 공적자금 투입은 잠재성장률을 0.68%포인트 정도 끌어올리고 국내총생산(GDP)을 약 630조원 늘리는 효과를 가져오는 등 위기 극복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일 재정경제부의 용역을 받아서 만든 '공적자금 투입의 성과 평가'라는 보고서에서 "공적자금 회수율을 30%로 가정하면 재정부담으로 귀착되는 부분의 현재가치(2001년 기준)는 85조2천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 권순우박사는 "공적자금 회수율이 20~40%에 그칠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에 근거해 재정부담을 산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공적자금 회수율 30%는 채권발행자금 104조원을 기준으로 한 회수율로 회수금액은 35조9천억원이 되며, 이에 따른 재정부담금은 이자를 포함해 85조2천억원이 된다는 설명이다.
권 박사는 그러나 "비용-분석 측면에서 공적자금 투입으로 발생하는 재정수입증가분이 재정으로 전가되는 부담분보다 크게 나타났다"면서 "장기적으로 공적자금 투입에 따른 이익이 비용을 능가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